나주 마산리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독무덤 · 위석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독무덤 · 위석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내용

1975년에 실시된 대초댐 수몰지구 발굴조사 때에 마산리 2구 쟁기머리의 고인돌을 발굴하던 중 발견되었다. 모두 3기로서 백제 위석식 고분이며, 그 밖에 독무덤 1기도 함께 발견되었다.

고분은 평지의 바닥에 깊이 30㎝ 내외의 구덩이를 파고, 주위에 돌아가면서 구획삼아 40㎝ 미만의 부정형 할석을 1, 2열 포개 두른 간단한 구조의 위석묘이다. 바닥에는 작은 자갈을 깔았으며 널을 사용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구덩이의 규모는 길이 225∼260㎝, 너비 60∼65㎝이다.

유물은 1호분에서 구형 둥근 바닥의 회백색 연질토기항아리와 철편 등이 출토되었다. 2호분에서도 구형 둥근 바닥의 연질 황갈색 백제토기항아리가 출토되었다.

3호분에서는 몸통이 매우 넓은 항아리 1점이 출토되었다. 토기형식으로 보아 백제 초기의 것으로 보인다. 또한 1호분의 철편은 손칼의 모습과 비슷하며 돌방의 동쪽 벽 가까이에서 출토되었다.

이러한 위석묘는 그 구조 자체가 널무덤에 돌을 두른 것으로 보아 널무덤에서 발전한 무덤양식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위석묘는 담양 제월리에서도 유개합(有蓋盒)ㆍ마구ㆍ무기류ㆍ청동거울 등과 함께 발견된 적이 있다. 이러한 위석묘는 마산리와 제월리의 출토유물을 비교해볼 때, 널무덤에서 발전한 새로운 변형양식의 묘제이다.

의의와 평가

3세기경에 출현하여 6세기 후반까지 돌방무덤과 관계없이 병행되어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묘제는 널이 사용되지 않은 앙와신전장(仰臥伸展葬)의 간단한 봉토분이며, 머리방향은 서침(西枕)과 북침(北枕)의 두 가지 예가 보인다.

참고문헌

『영산강수몰지구유적발굴조사보고서(榮山江水沒地區遺蹟發掘調査報告書)』(최몽룡, 전남대학교박물관, 1976)
「담양제월리백제고분(潭陽齊月里百濟古墳)과 그 출토유물(出土遺物)」(최몽룡, 『문화재(文化財)』10, 1976)
집필자
최몽룡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