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민요 ()

목차
관련 정보
강강술래
강강술래
국악
개념
전라도 · 충청남도의 일부 지역 · 경상남도의 서남부지방에서 불린 민요.
목차
정의
전라도 · 충청남도의 일부 지역 · 경상남도의 서남부지방에서 불린 민요.
내용

흔히 전라도지방의 민요를 일컬으며, 넓게는 삼남지방의 민요를 포함한다. <농부가>·<육자배기>·<진도아리랑>·<강강술래>·<흥타령>·<개구리타령>·<남원산성>·<쾌지나 칭칭 나네> 등의 통속민요와 일하면서 부르는 토속민요(土俗民謠)들이 있다. 선법은 거의 모두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다.

육자배기토리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명창법에 의한다면 ‘미·라·시·도·레’의 구성음으로 이루어졌는데, ‘미’는 굵게 떨고, ‘시’는 꺾어 내고, ‘라’는 떨지 않고 안정된 음으로 내며, 하행할 때는 ‘솔’ 음도 거치고, 끝날 때는 ‘미’ 혹은 ‘라’로 마치게 되는 선율의 토리로 전라도민요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중심음은 ‘미·라·시’이며, 이를 각각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 꺾는 음이라 한다. 특히, ‘레’나 ‘도’에서 ‘시’음으로 내려올 때 눌러 내거나, 흘러내리거나, 굴리는 소리를 자유스럽게 구사함으로써 슬픈 감정을 자아내게 하며, 혹은 그러한 시김새(표현기법)가 구성진 맛을 나타낸다. 그러나 때로는 경기소리제인 경토리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장단은 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진양조나 중모리와 같은 느린 가락과 장단으로 불릴 때는 슬픈 감정을 나타내지만, 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의 빠른 가락과 장단으로 불릴 때는 흥겹고 멋들어진다. 이러한 긴소리와 짧은 소리는 서로 짝을 이루고 있다.

창법은 극적이고 굵은 목을 쓰고 있으며, 심한 요성과 꺾는 음이 특징적이다. 옛날에 소고(小鼓)를 치며 춤추고 노래하던 소리꾼들이 벌이던 소리판은 고장마다 조금씩 달랐는데, <보렴 報念>이나 <화초사거리>와 같은 판염불 계통의 소리를 부르고 나서 <육자배기>·<흥타령>·<개구리타령> 따위의 소리를 잇대어 불렀고, 그 끝에 가서는 <새타령>이나 <까투리타령>·<진도아리랑> 등의 여러 가지 소리를 맞추어 불렀다.

마을에 잔치가 벌어지면 술이 거나하게 취한 마을의 소리꾼들이 술상머리에서 장구장단이나 무릎장단을 쳐 가며 여러 가지 소리를 돌아가면서 메기고 받는다. 흔히 <육자배기>로 시작하여 <흥타령> 등의 민요를 부르며, <삼산은 반락>과 <자진 육자배기>에 이어서 <남원산성>·<진도아리랑>을 잇대어 불렀다.

한편, 토속적인 민요로는 각 지방의 농요(農謠)가 특이해서 초벌·두벌·세벌(만두레) 김매기에 따라서 그 가락도 다양하다. 해남·진도·장산도·함평·담양, 그리고 옥구·익산·김제 등지의 <논매기소리>는 노래말에서는 공통적인 면이 많이 보이지만 가락에서는 서로 다르며, 그 가락과 장단에서 풍기는 멋과 흥취는 뛰어난 음악적 소양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논매기소리>에서의 메기고 받는 부분은 듣는 이로 하여금 굳세고도 힘찬 느낌을 갖게 한다.

이 지역의 민요가 가지고 있는 멋과 흥취는 이 지방에서 특히 많이 배출되고 있는 한국화(韓國畫) 명인들의 그림 솜씨와 함께 이 지방 사람들이 예로부터 가지고 있던 예술적 재질 및 심미안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민요는 판소리·산조·무가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수준 높은 음악으로 발전되어왔다. 현재 <강강술래>가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진도의 농요가 <남도들노래>라는 명칭으로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문예총감』(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
「태백산맥 이동지방의 민요선법의 연구」(한만영, 『예술론문집』 12, 대한민국예술원, 1973)
「민요」(권오성, 『월간문화재』, 1982.11.)
「팔도소리전집 해설집」(권오성, 『뿌리깊은나무』,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