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향비 ()

사천 흥사리 매향비
사천 흥사리 매향비
불교
개념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염원하면서 향을 묻고 세우는 비(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내세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염원하면서 향을 묻고 세우는 비(碑).
내용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매향비는 5종이 있다. 연대순으로 보면 1309년(충선왕 1)에 세운 고성삼일포매향비(高城三日浦埋香碑)와 1335년(충숙왕 복위 4)에 세운 정주매향비(定州埋香碑), 1387년(우왕 13)에 세운 사천매향비(泗川埋香碑), 1405년(태종 5)에 세운 암태도매향비(巖泰島埋香碑), 1427년(세종 9)에 세운 해미매향비(海美埋香碑) 등이다.

매향은 향을 오랫동안 땅에 묻어 침향을 만드는 것이다. 향을 오랫동안 땅에 묻어 두면 보다 단단해지고 굳어져서 물에 넣으면 가라앉게 되기 때문에 침향이라고 하며, 그 향을 불교에서는 으뜸가는 향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이 매향은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에 근거한 신앙형태로, 향을 묻는 것을 매개체로 하여 발원자가 미륵불과 연결되기를 기원하는 것이다.

즉, 미륵불이 용화세계(龍華世界)에서 성불하여 수많은 중생들을 제도할 때 그 나라에 태어나서 미륵불의 교화를 받아 미륵의 정토에서 살겠다는 소원을 담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원을 기록한 것이 매향비이다.

발견된 매향비는 모두 바닷물이 유입하는 내만(內灣)이나 첩입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불가(佛家)에 전하고 있는 매향의 최적지가 산곡수(山谷水)와 해수가 만나는 지점이라고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현재 남아 있는 매향비를 통해 볼 때 매향 주도 집단으로서 매향 발원자들을 결속시킨 조직체로는 보(寶) · 결계(結契) · 향도(香徒) 등이 있고, 이들은 승려보다는 일반 민중이 중심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매향지의 민중들이 피부로 느끼고 있는 현실적 고통과 불안으로부터 구원받는 방법으로서 미륵신앙과 접합된 매향을 택했던 것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들 매향비가 모두 14, 15세기에 세워진 것으로 보아 왜구의 침략이 많았던 해변지역의 불안과 민심을 매향을 통하여 치유하려 했음을 살필 수 있다.

참고문헌

「매향신앙(埋香信仰)과 그 주도집단(主導集團)의 성격(性格)」(이해준, 『김철준박사화갑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