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사릉 ( )

조선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조선 제6대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 여산송씨의 능.
이칭
이칭
노산군부인 송씨 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단릉
건립 시기
조선 전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단종|정순왕후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남양주 사릉(南楊州 思陵)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조선시대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70년 05월 26일 지정)
소재지
경기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80 (사능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남양주 사릉은 조선 제6대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 여산송씨의 능이다. 단종과 함께 폐위된 정순왕후의 묘는 해주정씨 선산에 조성되었으며, 1698년 복위 뒤 왕릉의 모습으로 봉릉되었다. 사릉을 봉릉하면서 석물의 크기는 정종 후릉, 석물의 수량은 덕종 경릉을 따랐다. 사적 남양주 사릉(南楊州 思陵)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의
조선 제6대 단종의 비인 정순왕후 여산송씨의 능.
건립경위

정순왕후(定順王后, 14401521)는 1454년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457년 단종(端宗, 재위 14521455)이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되자 정순왕후도 함께 부인(夫人)으로 강등되었다. 정순왕후는 평생 단종을 기리며 살았는데 나이가 많이 들어 봉양이 필요했으나 혈육이 없었으므로, 단종의 유일한 조카인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 정미수(鄭眉壽, 1456~1512)의 집에 의탁하였다. 이에 정순왕후가 승하하자 정미수의 해주정씨 선산에 묘소가 조성되었다.

1698년 단종과 정순왕후가 복위되고, 각 묘소는 1699년 봉릉(封陵)이 완료되어 왕릉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왕릉 내에는 민간의 묘가 있을 수 없기에 해주정씨는 선산을 옮겨야 할 상황이었지만, 숙종(肅宗, 재위 1661~1720)은 해주정씨의 의리를 생각해 없애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그래서 현재 사릉 서쪽 언덕에 정미수 일가의 묘소가 보존되고 있다.

사릉 봉릉 시 석물(石物)의 체제는 후릉(厚陵)을 따르고, 수(數)는 경릉(敬陵)을 따른다고 하였다. 이 말을 사릉 석물과 비교해 보면 석물의 종류는 경릉, 크기는 후릉을 따랐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형태와 특징

사릉은 병풍석(屛風石), 난간석(欄干石)이 없는 단릉(單陵)으로 주변에 양석(羊石) 1쌍, 호석(虎石) 1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앞으로 망주석(望柱石), 혼유석(魂遊石), 장명등(長明燈), 문석인(文石人)과 석마(石馬)가 건립되었다.

일반적인 왕릉에 비해 양석, 호석의 수량이 절반이며, 무석인(武石人)이 설치되지 않은 것은 세자묘(世子墓)로 조성된 경릉을 따랐기 때문이다. 능강 아래에는 정자각(丁字閣), 비각(碑閣), 홍살문이 건립되어 있다.

금석문

비각 내에 있는 사릉 표석은 1771년에 건립되었다. 『 춘관통고(春官通考)』에 따르면 사릉에는 ‘노산군부인 송씨지묘(魯山君夫人 宋氏之墓)’라고 하는 옛 비석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의의 및 평가

사릉은 숙종의 왕릉 석물 간소화 정책이 시작된 중요한 곳으로, 석물의 크기가 줄어들면서 석재의 채취, 운반, 조각 등 제반의 인력과 물자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더불어 사릉 석물 채석장 터〔思陵石物採石場址〕가 서울특별시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어서 연구 가치가 높다. 사적 남양주 사릉(南楊州 思陵)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원전

『춘관통고(春官通考)』
『사릉봉릉도감의궤』

단행본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Ⅱ』(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논문

김민규, 「조선 왕릉 장명등 연구」(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