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암유고 ()

삼암유고
삼암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박이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박이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8년 박이겸의 9세손 박상호(朴祥浩)가 영조와 철종연간에 간행하려다 못한 것을 증보·간행한 것이다. 권두에 방손(傍孫) 박내만(朴來萬)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석근(金奭根)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2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 14수와 벗들의 차운(次韻) 16수, 추서(追敍) 2편, 행적 1편, 서(序) 2편, 잡저 4편, 제문 8편, 부록으로 세계(世系)·행장·묘갈문 각 1편, 제문 6편, 봉안문·통문(通文) 각 1편, 권3에 연보와 저자의 아우 박이항(朴以恒)의 『비암유고(秘巖遺稿)』 등이 수록되어 있다.

「덕업수계서(德業修契序)」는 인근 고을의 선비 13인이 학문과 덕행의 수행을 위하여 계를 조직하였는데, 그 경위와 참가범위 등을 상술하고, 그 덕업의 시행과 권장의 방법 등을 설명한 글이다. 「덕업계조약(德業契條約)」은 그 규모와 강령을 규정한 것으로 전문 28조로 되어 있는데, 앞의 7조는 행동규약을 정한 것이며, 뒤의 21조는 덕목으로 집에서 처신하는 것과 밖에서 행동하는 것을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당시 선비들의 처세술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입덕문가(入德門歌)」는 상민과 부녀자들을 교육하기 위하여 국한문을 혼용하여 지은 가사로, 덕행의 조목인 3강령(綱領)과 8조목을 설명하고 도통의 연원을 밝힌 것인데, 국문학연구에 자료가 된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