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오당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세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1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김세락의 아들 김정무(金政武)가 편집하고, 1911년 김세락의 손부(孫婦) 권씨(權氏)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신태종(申泰宗)·신정석(申晶錫)·권수승(權秀升)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간송미술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사(辭) 2편, 시 55수, 서(書) 3편, 서(序) 4편, 권2에 기 5편, 제문 4편, 찬(贊) 1편, 설(說) 14편, 잡저 1편, 권3·4에 잡저로 용경록(容經錄) 상·하, 도표(圖表) 4편, 부록으로 만사 2수, 행장 1편, 유허비명(遺墟碑銘) 1편, 묘갈명 1편, 봉안문·상향축문(常享祝文)·삼오당기(三吾堂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사의 「어초사(漁樵辭)」는 소보(巢父)·허유(許由)의 고사와 무릉도원(武陵桃源)의 고사를 인용하여 은둔생활로 자락(自樂)하는 심경을 잘 묘사한 작품이다. 시의 「용담어약(龍潭魚躍)」에서는 자신을 어룡(魚龍)에 비유해 혼탁한 세상을 풍자하고 있다. 「유보은속리사(遊報恩俗離寺)」에서는 불전(佛殿)의 장엄(莊嚴)을 잘 묘사해 불교적인 취향이 있음을 보이고 있다.

서(書)의 「답유경숙(答柳敬叔)」은 유경목(柳敬穆)에 답한 글로서 상례(喪禮)에 관한 상변(常變)을 언급하고 있다. 설의 「수신설(修身說)」·「제가설(齊家說)」·「삼난설(三難說)」 등은 대개 수신제가에 관한 내용이다. 「오행생극설(五行生克說)」은 오행설(五行說)을 오륜(五倫)에 연관시켜 설명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잡저 가운데 「용경록」은 후학들을 위해 『시전(詩傳)』·『서전(書傳)』·『논어』·『맹자』·『중용』 등에서 주로 수신·제가 및 심성에 관한 내용을 뽑아 모은 것이다. 모두 34항목으로 항목마다 본문 및 선현들의 주석을 소개하고 자기의 설명을 부기하였다. 「용경록」은 근대 성리학을 떠나 고전적인 원시 유학에 중점을 두고 저술되었다는 점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그 뒤에는 「삼성도(三省圖)」를 비롯해 「일관도(一貫圖)」·「오심도(吾心圖)」·「오지도(五止圖)」 등 4편의 도표가 있다. 수신·도(道)·심성·오륜 등을 도표로 설명하고 이에 대한 주해를 부기한, 저자의 철학적 사상 체계를 집대성한 내용으로 독창성이 엿보인다. 이 밖에 잡저의 「권학문(勸學文)」에는 학문하는 방법과 독서차제 등이 언급되어 있다.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