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7-10 중 권7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7-10 중 권7
불교
문헌
불교에서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 할 때 사용하는 의례서. 불교의례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불교에서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 할 때 사용하는 의례서. 불교의례서.
편찬/발간 경위

양나라의 무제가 황후 치씨(郗氏)를 위해 편찬한 것으로 미륵(彌勒)의 몽감(夢感)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자비도량이라고 제명(題名)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이래 여러 번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5권 1책 또는 10권 5책. 목판본. 초기 판본 2종이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밖에 국립중앙도서관 ·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권1에 귀의삼보(歸依三寶) · 단의(斷疑) · 참회(懺悔)에 관하여, 권2에 발보리심(發菩提心) · 발원(發願) · 발회향심(發廻向心), 권3에 현과보(顯果報), 권4에 출지옥(出地獄), 권5와 권6에 해원석결(解寃釋結), 권7에 자경(自慶) · 총발대원(總發大願) · 봉위천도예불(奉爲天道禮佛), 권8에 봉위아수라도일체선신예불(奉爲阿修羅道一切善神禮佛) · 봉위용왕예불 · 봉위마왕예불 · 봉위부모예불 · 봉위과거부모예불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9에 육도중생을 위한 예불과 발원 등을 서술하였으며, 권10은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과 발원으로 끝맺고 있다. 국가유산 지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우종미술관 소장 권7~10(보물, 1986년 지정)

4권 1책. 목판본. 서울 이경희 소장. 이 판본은 1책만이 전하는 영본(零本:1질 중 일부만 남아 있는 책)으로, 본래 권자본(卷子本) 형식으로 판각한 것을 선장(線裝)으로 장책한 것이다. 1352년(공민왕 1) 10월 화주(化主) 수한(壽閑) 등의 알선 아래 사주(社主) 정서(正西) 등의 시주로 개판되었다.

글씨는 연허(衍虛)가 송설체(松雪體)로 썼고, 연판(鍊板)은 영철(靈哲) 등이, 간각(刊刻)은 요심(了心) 등이 담당하였다.

이 책과 동일한 판본이 고려대학교 도서관을 비롯하여 몇 군데 잔결본이 전래되고 있었으나 간년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 책의 출현으로 그 개판년이 밝혀지게 되었다. 그러한 점에서 전래의 가치가 크게 평가되는 고려판각의 귀중본이다.

(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권10(보물, 1987년 지정)

1권 1첩. 목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 판본 역시 10권 가운데 마지막 권으로 간기는 없으나 본문에 고려 태조의 휘(諱)인 ‘建’자와 정종의 휘인 ‘堯’자와 겸피휘자인 ‘饒’자, 목종의 휘인 ‘誦’자에 각각 결획이 있어, 고려 때 새긴 목판에서 찍어낸 책임을 알 수 있다.

권말에 ‘冊主信談(책주신담)’이라는 묵서(墨書)가 있고, 그 뒷면에 ‘正德元年丙寅十月日 晟將元傳受信談(정덕원년병인시월일 성장원전수신담)’이라는 묵서지기가 있어 1506년(중종 1) 신담이라는 사람이 사용하다가 성장에게 준 책임을 알 수 있다.

(3) 개인 소장 권1~5(보물, 1994년 지정)

5권 1책. 목판본. 경상남도 양산의 김찬호 소장. 이 책은 아미타불을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하면서 제 악업을 참회하여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법회의 절차를 수록한 내용이다. 예념미타도량참법(보물, 1988년 지정). 예념미타도량참법 권6~10(보물, 1992년 지정)과 동일한 판본이다. 조선시대 전적 가운데 가장 뛰어난 판본 가운데 하나이다.

(4) 보림사 소장 권9~10(보물, 1997년 지정)

1447년(세종 29년)에 간행한 판본을 1462년에 간경도감에서 중수(重修)한 판본. 이 책은 양나라 여러 고승들이 10권 40품(品)으로 편찬한 것 가운데 권9∼10이다. 내용은 육도중생(六道衆生)을 위한 불과 보살회향법(菩薩廻向法) 및 발원이 서술되어 있다.

이 책은 중생이 살아가면서 짖는 원한이나 온갖 죄를 참회법을 통하여 괴로움에 벗어나게 하는 영혼천도용(靈魂薦度用)으로 사용되는 의식집이다.

김구덕(金九德)의 아들과 명빈 설월헌인(明嬪雪月軒人), 소혜궁주 노씨(昭惠宮主盧氏), 신순궁주 정민(愼順宮主正敏) 등이 발원하여 태종대왕, 원경왕후(元敬王后),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고 자기들 부모의 영가를 천도하기 위해 간행한 것을 세조8년(1462)에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찍어낸 것이다. 전라남도 장흥 보림사에서 소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은 조선 초기의 불교의식 연구와 간경도감의 성격규명에 새로운 자료이며 이와 비슷한 판본의 간행 년도 추정에 귀중한 판본이다. 또한 불교의식 및 예참법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 출판부, 1976)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