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선의(說禪儀)』의 저자 청허 휴정(1520~1604)은 명종대에 승과를 거쳐 선교양종(禪敎兩宗)의 판사를 지냈고, 1592년 임진왜란 때 8도 도총섭으로 의승군을 일으킨 인물이다. 휴정은 지리산에서 출가한 후 금강산을 거쳐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에서 활동하다가 입적하였다. 청허계의 조사로서 휴정은 사명 유정(1544∼1610), 소요 태능(逍遙太能, 1562∼1649), 편양 언기(鞭羊彦機, 1581∼1644) 등 많은 제자를 양성하였다.
휴정은 간화선(看話禪) 우위의 선교겸수(禪敎兼修)를 주장하였다. 저술로는 문집인 『청허당집(淸虛堂集)』 이외에 『선가귀감(禪家龜鑑)』, 『삼가귀감(三家龜鑑)』, 『운수단(雲水壇)』 등이 있다.
책머리에는 중관 해안(中觀海眼, 1567∼?)이 쓴 발문(跋文)이 있고, 본문에 이어 부록으로 「동국제산선등직점단(東國諸山禪燈直點壇)」이 실려 있다.
본문은 설법(說法)하는 공간을 장엄하게 만드는 방식과 좌석을 정하는 방식을 도표를 통해 보여주는 것으로 시작한다. 공간의 상부에는 공신(空神) · 지신(地神)을 세운다. 그 오른편에는 직조(直爪) · 횡조(橫爪) · 천원(天圓) · 절부(節斧) · 허개(虛蓋) · 익선(翼扇) · 봉선(鳳扇) · 금선(金扇) · 원선(圓扇) · 화병(花甁)을 진열하며, 왼쪽에는 천원 대신 지방(地方)을 넣고 나머지는 오른쪽과 같이 배열한다. 공간의 중앙에는 용선(龍旋) · 임시패(林示牌) · 악사(樂師)를, 그 앞에는 두 줄로 인등(引燈) · 옥편(玉鞭) · 인촉(引燭) · 향로 · 시자(侍者) · 향촉 · 일산 · 어산(魚山)을 두고, 그 뒤로 사부중석(四部衆席)을 둔다.
본존불의 오른쪽에는 아난 · 가전연 · 아나율 · 우바리(優婆離) · 라후라가 앉고, 왼쪽에는 가섭(迦葉) · 사리불(舍利佛) · 수보리(須菩提) · 부루나(富樓那) · 목건련(目犍連), 이렇게 10대 제자가 좌정(坐定)을 한다.
이어 세존(世尊)이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正覺)을 성취하는 모습을 기술하는데, 이는 설법하는 선사가 부처와 동일한 깨달음을 얻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법식의 구체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다. 공신과 지신이 “부처님의 출현은 우담화(優疊花)가 피는 것보다 드문 일이다."라고 말하며 세존의 법어(法語)를 청하도록 제천을 불러 모은다. 이어 문수보살이 세 차례 북을 치며, 범천왕(梵天王)이 세존을 찬탄(讚歎, 贊嘆)하며, 광천왕(光天王)이 법을 청하는 게송(偈頌)을 읊는다. 이후 돌아가며 종과 북을 치고 세존을 찬탄하는 게송을 읊는다. 대중 모두가 세존을 청하는 예를 세 번 올리고 내림북을 다섯 번 치면, 세존이 방장실의 자리에서 일어난다. 이후 올림북을 다섯 번 치면 세존이 문을 나서서 열 걸음을 걷고 멈춘다. 이에 대중은 산화공덕(散花功德)의 예를 올린다. 대중이 게송을 읊으면 세존이 사자좌(獅子座)에 오른다. 곧이어 대중은 개경게(開經偈)를 읊으며 문수보살이 법어를 청취할 것을 고한다. 세존은 불자를 치켜들고 게송을 읊은 후 대중들과 법에 대한 문답을 진행한다. 질의가 끝나면 세존은 사자좌에서 내려와 방장실로 돌아가고 대중은 게송으로 세존을 찬탄한다. 이로써 법어를 설하는 의식이 끝난다. 이처럼 『설선의』는 선사의 설선 의식을 부처가 설법하는 방식에 비유하여 자세히 묘사하였다.
부록으로 실린 「동국제산선등직점단」은 임제선(臨濟禪) 전법자를 비롯한 전국 각지 고승들의 신위(神位)를 공양하는 내용이다.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 인예향욕(引詣香浴)‚ 헌좌진언(獻座眞言)이 실려 있다.
『설선의』는 부처가 설법하는 형식을 빌려 선사의 설선 의식을 설명한 것으로 선종의 법식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