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허당집 ()

청허당집
청허당집
불교
문헌
조선시대의 대표적 고승 청허 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이칭
이칭
청허당대사집(淸虛堂大師集), 청허당문집(淸虛堂文集)
약칭
청허집(淸虛集)
문헌/고서
편찬 시기
1630년(1612·1666년, 간년 미상)
간행 시기
1630년(1612·1666년, 간년 미상)
저자
청허 휴정(淸虛休靜)
편자
편양 언기(鞭羊彦機), 보진(葆眞)
권책수
7권(2권, 4권)
권수제
청허당집(淸虛堂集)
판본
목판본
표제
청허당집
소장처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
내용 요약

『청허당집(淸虛堂集)』은 조선시대의 대표적 고승 청허 휴정(淸虛休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이다. 7권본이 주로 유통되고 있지만 2권본, 4권본도 전하고 있다. 7권본의 경우 권1~3에는 다양한 형식의 시가 실려 있고, 권4에는 게송과 잡저, 권5에는 기(記), 명(銘), 발(跋), 권6에는 시와 함께 서(序) · 소(疏) · 모연문(募緣文) · 기문, 권7에는 서간문 등과 함께 마지막에 행장(行狀)이 부록으로 실려 있다.

정의
조선시대의 대표적 고승 청허 휴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청허당집(淸虛堂集)』의 저자 청허 휴정(淸虛休靜, 1520~1604)은 태고(太古) 법통의 주25을 잇는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고승이다. 휴정은 명종대에 승과에 합격한 후 선교양종판사를 지냈고,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8도 도총섭으로서 의승군을 일으켰다.

휴정은 조선 후기 불교계 최대 계파인 청허계의 조사로서 사명 유정((四溟惟政, 1544~1610), 편양 언기(鞭羊彦機, 1581~1644) 등 많은 주1를 양성하였다. 또한 간화선(看話禪) 우위의 선교겸수(禪敎兼修)를 주창하면서 선, 교, 염불을 종합한 삼문수행(三門修行) 체계의 틀을 제시하였다. 저서로는 『청허당집』 이외에도 『선가귀감(禪家龜鑑)』, 『삼가귀감(三家龜鑑)』, 『운수단(雲水壇)』, 『선교결(禪敎訣)』, 『선교석(禪敎釋)』, 『심법요초(心法要抄)』 등이 있다.

서지사항

『청허당집』 7권본은 1630년(인조 8) 경기도 삭녕 용복사(龍腹寺)에서 간행된 주2 『동사열전(東師列傳)』에는 8권본으로 기록되어 있다. 2권본은 1612년(광해군 4) 주4[^3]과 1666년(현종 7) 동리산 태안사(泰安寺) 주5이고, 4권본은 간년 미상의 묘향산 주6이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청허당집』 7권본은 편양 언기의 주도 하에 휴정의 또 다른 제자 보진(葆眞)이 1630년에 용복사에서 주7했다. 이식(李植)이 쓴 서문이 들어 있다.

2권본은 사명 유정의 주8으로 펴낸 주9으로 허균(許筠)의 「청허당집서(淸虛堂集序)」가 실려 있다. 1666년에 이 2권본을 복각(復刻, 주10 태안사 개판본이 나왔다.

4권본인 묘향장판본은 1794년 정조(E0050867)의 「어제서(御製書)」와 제문(祭文)이 수록된 후대의 간행본으로 2권본과 7권본을 종합한 것으로 보인다.

구성과 내용

7권본을 중심으로 『청허당집』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권두에는 몇몇 서문과 함께 선조의 「묵죽시(墨竹詩)」와 정조의 주11, 「서산대사화상당명(西山大師畫像堂銘)」 및 「수충사사제문(酬忠祠賜祭文)」이 나온다.

권1에는 사(辭) 7수, 주12 3수, 오언 고시(五言古詩)[^13] 3수, 칠언 주14 8수, 오언 율시(五言律詩)[^15] 24수, 칠언 주16 23수, 오언 배율(五言排律)[^17] 1수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가 나온다.

권2에는 휴정이 남긴 시 가운데 가장 큰 분량을 차지하는 오언 주18 317수가 들어 있다. 권3에는 육언 절구 2수, 칠언 주19 135수, 권4에는 게송 1편과 잡저 11편이 수록되어 있다.

권5에는 기문 8편, 명(銘) 1편, 주20 1편, 권6에는 26수의 시와 서문 · 소(疏) · 기문 · 주21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7에는 60편에 달하는 편지글이 실려 있는데, 「상완산노부윤서(上完山盧府尹書)」는 휴정의 자전적인 글로 주목되며, 다른 글들도 휴정의 행적과 주22 관계, 당시 시대의 분위기와 휴정의 사상의 주23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책의 말미에는 편양 언기가 쓴 행장이 나온다.

『청허당집』에 수록된 시에서는 휴정의 개인적 서정, 자연 및 경관에 대한 찬미, 선적 해탈의 경지 등 휴정과 당대의 풍경에 대한 다양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상퇴계상국서(上退溪相國書)」, 「상남명처사서(上南冥處士書)」 등의 서간문에서는 주24들과의 교유 사실이 확인되며 현실에 대한 휴정의 인식과 불교의 가치를 알리려는 그의 노력도 보인다. 이밖에도 『청허당집』에는 「석가세존사리부도비(釋迦世尊舍利浮圖碑)」, 「원각경경찬(圓覺經慶讚)」, 「보현사경찬소(普賢寺慶讚疏)」, 「편린(片鱗)」, 「만덕산백련사중창모연문(萬德山白蓮社重創募緣文)」, 「기동호선자서(寄東湖禪子書)」 등 불교사와 관련된 중요한 기록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청허 휴정은 승과 출신 선교양종 판사이자 임진왜란 때 8도 도총섭으로 의승군을 일으킨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고승이다. 그는 조선 후기 불교계 최대 계파인 청허계의 조사이자 태고(太古)법통의 계승자로서 높은 위상을 가진 인물이다. 휴정은 간화선 우위의 선교겸수, 과 교에 염불을 함께 닦는 삼문 체계를 제시하여 이후 불교 사상과 수행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청허당집』은 휴정의 생애와 사상을 오롯이 담아놓은 시문집이다. 이 책은 충의를 실천한 고승이자 선승으로서 휴정의 지향점과 복합적 면모를 확인해 볼 수 있게 한다.

참고문헌

원전

『청허당집(淸虛堂集)』
『한국고승비문총집』

단행본

김용태, 『조선 불교사상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21)
이상현 역, 『청허당집』(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 27)(동국대학교 출판부, 2016)

논문

백옥수, 「원전 텍스트의 새로운 활용을 위한 『청허당집』 판본 비교연구」(『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56, 2013)
최정이, 「조선시대 승려의 문집 간행에 대한 서지적 연구」(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이름난 학자 밑에서 배우는 제자. 우리말샘

주2

2책

주3

1책

주4

여러 차례 간행된 책에서 맨 처음 간행된 책. 우리말샘

주5

1책

주6

2책

주7

이미 펴낸 책을 거듭 간행함. 우리말샘

주8

죽은 사람이 남긴 훈계. 우리말샘

주9

1612년

주10

판각본을 거듭 펴내는 경우에 원형을 모방하여 다시 판각하다. 우리말샘

주11

임금이 몸소 짓거나 만듦. 또는 그런 글이나 물건. 우리말샘

주12

한 구(句)가 넉 자로 이루어진 한시. 우리말샘

주13

한시(漢詩)에서, 한 구(句)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고체(古體). 염(簾)을 보는 일이나 글귀 수에 제한이 없이 운(韻)을 달아 몇 구로든 지을 수 있다. 우리말샘

주14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고시. 우리말샘

주15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율시. 우리말샘

주16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율시. 모두 8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17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배율(排律). 중국 육조 시대의 제나라ㆍ양나라 때에 시작하였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8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절구.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하였다. 우리말샘

주19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절구. 모두 4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20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大綱)이나 간행 경위에 관한 사항을 간략하게 적은 글. 우리말샘

주21

승려가 시주에게 돈이나 물건을 기부하게 하여 좋은 인연을 맺게 하는 글. 우리말샘

주22

서로 사귀어 놀거나 왕래함. 우리말샘

주23

한 조각의 비늘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극히 작은 한 부분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4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우리말샘

주25

정통의 혈통에서 정통으로 이어받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