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활자본. 1928년 제자 정보화(鄭輔和)가 동문(同門)들과 모은 계전(契錢)으로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종응(崔鍾應)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박(文樸)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은 시 129수, 권2는 서(書) 52편, 권3은 서(書) 36편, 잡저로 서(序) 5편, 설(說) 8편, 잠(箴) 2편, 명(銘) 16편, 제문 30편, 권4는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묘지 각 1편과 만(輓) 21수, 제문 6편, 성와설(省窩說)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의 「유사」에는 저자가 천문(天文)에 밝아 능히 미래를 짐작하였다고 적혀 있으나, 본서의 내용 중에는 그런 점을 짐작할 만한 글이 없다. 시의 「친묘소설(親墓掃雪)」은 눈이 오는 날 어버이 묘소에 쌓인 눈을 쓸며 흐르는 눈물을 주체하지 못하여 통곡한다는 내용으로, 어버이에게 향하는 사모의 정이 진솔하게 표현되어 있다.
명(銘)은 인(人)·심(心)·의(意)·덕(德)·성(性)·이(理)·도(道)·인(仁)·의(義)·예(禮)·지(智)·충(忠)·기(氣)·질(質)·경(敬)·성(誠) 등 16개의 글자에 대한 명문이다. 모두 유학의 관건이 되는 글자들로서 쉽고 밀도 있게 설명되어 있다.
서(書)는 사서(四書)와 『근사록(近思錄)』·『심경(心經)』, 그리고 명도(明道)·이천(伊川)·주자(朱子)의 글들에 대하여 문목(問目)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밖에 「교소아독서차제설(敎小兒讀書次第說)」과 「여제군입과정소설(與諸君立課程小說)」은 서당의 교육과정과 일과(日課)의 잘잘못들을 지적한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