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산 성주사 ( )

목차
관련 정보
보령 성주사지 전경
보령 성주사지 전경
불교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성주산(聖住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제29대 법왕이 창건한 사찰.
이칭
이칭
오합사(烏合寺)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령 성주사지(保寧 聖住寺址)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84년 08월 13일 지정)
소재지
충남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2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미산면 성주산(聖住山)에 있었던 삼국시대 백제의 제29대 법왕이 창건한 사찰.
내용

선문구산(禪門九山)의 하나인 성주산파(聖住山派)의 중심사찰이었다.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는 백제 법왕 때에 창건된 오합사(烏合寺)가 이 사찰이라는 사실이 1960년부터 수합된 기와 조각에서 확인되었다.

백제의 멸망 직전에 이 절에 큰 적마(赤馬)가 나타나 밤낮으로 여섯 번이나 절을 돌아다니면서 백제의 멸망을 예시해주었다고 한다. 599년(법왕 1) 헌왕태자, 곧 법왕에 의하여 창건되었으며, 신라 문성왕 때 당나라에서 귀국한 국사 무염(無染)이 김양(金陽)의 전교에 따라 이 절을 중창하고 주지가 되어 선도(禪道)를 선양하게 되자 왕이 성주사라는 이름을 내리게 되었다.

그 뒤 이 절은 성주산파의 총본산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된 뒤 중건되지 못하여 현재 폐사 터만이 1984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번창하였을 때에는 절에서 쌀 씻은 뜨물이 성수천을 따라 10리나 흘러내렸다고 한다.

문화유산으로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보령 성주사지 대낭혜화상탑비를 비롯하여 4기의 석탑과 석등 · 석불입상 · 당간지주 · 석계단 등이 있어서 옛날의 규모를 말해준다. 이 가운데 백월화상 탑비는 890년(진성여왕 4)에 세워진 신라 최대의 것으로 최치원(崔致遠)이 글을 짓고 최인연(崔仁渷)이 썼는데 고어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4기의 석탑은 신라 말에 건립된 것으로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성주사지 오층석탑과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조각수법이 우수한 성주사지 서삼층석탑,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된 성주사지 동삼층석탑 등이다.

또한 높이 1.85m의 석등이 있으며, 현재 2단이 남아 있는 석계단은 목에 방울이 달린 석수가 앉아 있으며 1984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 1974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삼천불지(三千佛址)를 발굴하였고, 최근에는 충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여러 해에 걸쳐 전 사역을 발굴하여 사찰의 규모가 밝혀지게 되었다. 성주사지는 1984년 사적으로 지정되어 정비되어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전통사찰총서』 12(사찰문화연구원, 1999)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집필자
김위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