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예설유편 ()

목차
관련 정보
성호예설유편
성호예설유편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이 학자들과 교환한 서간문 중 예설에 관한 글을 모아 6권으로 엮은 예서.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이 학자들과 교환한 서간문 중 예설에 관한 글을 모아 6권으로 엮은 예서.
개설

조선 후기의 학자 이익(李瀷)이 여러 학자들과 교환한 서간문 중에서 예설에 관한 것을 골라 『가례(家禮)』의 편목에 맞추어 엮고, 여기에 다시 고증을 붙여 알기 쉽게 풀이한 책이다.

서지적 사항

6권, 속집 합 7책. 필사본. 필사한 연대를 알 수 없으며 서문과 발문도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수에 목록이 있는데, 이는 본문의 잡다한 내용을 다시 정리해 작성한 것이다. 목록에 의하면 권1은 가례도·통례·사당·관례·혼례, 권2∼6은 상례·제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가례도’에는 가례도후인소찬(家禮圖後人所撰)·삽제(翣制)·주식(主式)·사당서립도(祠堂序立圖) 등 6개항,

② ‘사당’에는 사감봉주(四龕奉主)·종법(宗法)·반부(班祔)·구제기(具祭器)·신알(晨謁)·참(參)·속절(俗節)·유사즉고(有事則告)·사당유재(祠堂有災)·체천(遞遷)·심의제도(深衣制度),

③ ‘관례’에는 삼가지의(三加之儀)·일가지의(一加之儀)·장방권주제종지관혼(長房權主諸宗之冠昏) 등 5개항,

④ ‘혼례’에는 가여의(嫁女儀)·협배지의(俠拜之義)·취부의(娶婦儀)·상내취부지의(喪內娶婦之儀)·혼서식(昏書式),

⑤ ‘상례’에는 역복(易服)·치관(治棺)·목욕(沐浴)·습(襲)·반함(飯含)·영좌(靈座)·명정(銘旌)·소렴(小斂)·대렴(大斂)·성복(成服)·부인복제(婦人服制)·동자복제(童子服制)·참최(斬衰)·자최(齊衰)·장기(杖期)·부장기(不杖期)·자최삼월(齊衰三月)·대공(大功)·소공(小功)·시마(緦麻)·상복(殤服)·조석곡전(朝夕哭奠)·상식(上食)·상내삭망(喪內朔望)·상내속절(喪內俗節)·조(弔)·분상(奔喪)·치장(治葬)·천구(遷柩)·조조(朝祖)·천우청사(遷于廳事)·조전(祖奠)·발인(發靷)·폄(窆)·제주(題主)·반곡(返哭)·상상치장(殤喪治葬)·개장(改葬)·허장(虛葬)·우제(虞祭)·졸곡(卒哭)·부제(祔祭)·소상(小祥)·담제(禫祭)·거상잡의(居喪雜儀)·서소(書疏),

⑥ ‘제례’는 시제(時祭)에 재계(齊戒)·설위(設位)·진기(陳器)·설찬(設饌)·봉주취위(奉主就位)·초헌(初獻)·아헌(亞獻)·종헌(終獻)·유식(侑食)·합문(闔門)·계문(啓門)·수조(受祚)·사신(辭神)·납주(納主)·철(徹)·준(餕) 등 71개항, 기제(忌祭)에 제식(祭式)·기제식(忌祭式) 등 16개항,

⑦ 부록인 상내행제식(喪內行祭式)에 9개항, 묘제(墓祭)에 묘제식(墓祭式)·묘제축문(墓祭祝文) 등 22개항, 국휼행제(國恤行祭)에 과시부제변(過時不祭辨) 등 6개항, 왕조례(王朝禮)에 논종묘소목사(論宗廟昭穆事)·발종묘고(跋宗廟考)·서한선제추존도고사(書漢宣帝追尊悼考事)·논계체론(論繼體論)·서윤고산예론(書尹孤山禮論)·발윤고산연보(跋尹孤山年譜)·서백호예론(書白湖禮論)·서허미수예론(書許眉叟禮論)·천자제후조망부유폐질주상의(天子諸侯祖亡父有廢疾主喪義)·논강왕지고(論康王之誥) 등

여러 편목이 분류되어 있다. 이어서 속집인 제7책은 ‘예설속편(禮說續編)’이라는 표제가 붙어 있으며 답안순암문목(答安順菴問目)과 사설논례편(僿說論禮篇)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의 내용을 보면, 목록의 구체적인 편목명을 기록하지 않고 「답병휴문목(答秉休問目)」·「답정여일질서문목(答鄭汝逸疾書問目)」·「답한제이(答韓際而)」 등 서간문의 제목을 달아 목록의 편차에 따른 내용을 해설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추가 설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서의례고증(書疑禮考證)’ 또는 ‘의례문해변의(疑禮問解辨疑)’ 등으로 제목을 달아 상세한 설명을 가하고 있다.

고증인 경우 인용 서목을 명시하고 있으며, 선유(先儒)의 설에 이의를 제기한 부분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우안……운운(愚按……云云)”으로 시작하였다.

권6의 부록 왕조례 가운데 「서윤고산예론」·「서백호예론」·「서허미수예론」 등은 서인과 남인 사이에 일어났던 자의대비(慈懿大妃) 복상(服喪) 문제에 대한 예론(禮論)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밝힌 것으로 특히 주목을 끌게 한다.

참고문헌

『성호예설유편(星湖禮說類編)』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민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