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혁명당 ()

근대사
단체
1915년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조직되었던 독립 운동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15년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조직되었던 독립 운동 단체.
개설

1915년 3월 북경에 있던 성낙형(成樂馨) · 유동열(柳東說) 등 독립 운동가들이 상해로 가서 박은식(朴殷植) · 신규식(申圭植)동제사 간부와 이상설(李相卨) · 이춘일(李春日) · 유홍렬(劉鴻烈) 등을 만나 신한혁명당의 조직을 협의하였다.

설립목적

그들은 제1차 세계대전이 독일의 승리로 끝날 것이고, 종전 뒤 독일은 연합국의 일원인 일본을 공격할 것이며, 이때 일본과 원한이 깊은 중국은 독일과 함께 일본을 공격할 것이라고 향후의 세계정세를 전망하였다. 그리고 바로 그 시기를 조선이 독립할 기회로 보았다.

그런데 독일 · 중국과 긴밀한 연락을 위해서는 독일 · 중국이 제정(帝政)체제이므로 공화정치를 표방해서는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우선 제정체제를 표방하고 고종을 내세울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조직구성

동제사 간부들이나 유동열 등이 이미 공화주의자로 변신하고 있었음에도 이처럼 제정체제를 표방한 것은 일종의 임시 방편책이었다. 그런데 명문 양반 가문 출신인 성낙형이 이를 주장한 것을 보면, 그는 신한혁명당 결성에 주도적 구실을 한 것으로 보인다.

본부는 북경에 두고, 지부는 중국의 상하이 · 한커우(漢口) · 펑톈(奉天) · 창춘(長春) · 안둥현(安東縣) · 옌지부(延吉府), 국내의  서울 · 원산 · 평양 · 회령 · 나남 등지에 두었다. 고종을 당수로 추대하고 본부장에 이상설이 추대되었고, 외교부장은 성낙형, 교통부장은 유동열, 재정부장은 이춘일, 상하이지부장은 신규식, 감독은 박은식, 창춘지부장은 이동휘(李東輝) 등이 각각 맡았다.

기능과 역할

이들은 두 가지 활동 방침을 세웠다. 하나는 전쟁이 일어날 경우 중국을 지원하기 위해 안펑선(安奉線) 철도를 파괴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고종으로부터 위임을 받아 중국 정부와 중한의방조약(中韓誼邦條約)이라는 밀약을 맺는 것이었다.

그런데 첫 번째 구상은 중국의 위안스카이(袁世凱)가 일본의 21개조 요구를 모두 수락함으로써 무산되고 말았다. 두 번째 구상도 성낙형이 1915년 7월 서울에 들어와 변석붕(邊錫鵬) 등 수 명과 함께 고종의 밀명을 받을 방법을 협의하던 중 일본 경찰에 붙잡힘으로써 이 또한 수포로 돌아갔다.

두 가지 구상이 모두 무산된 이후 활동은 별다른 성과 없이 중단되고 말았다. 이처럼 활동이 쉽게 중단되었던 것은 국제 정세에 대한 그들의 분석이 중국의 일본에 대한 굴복으로 빗나가 버린 데에 가장 큰 이유가 있었다. 그리고 당시 동제사의 간부인 신규식 등은 중국 국민당(國民黨)과 긴밀한 관계를 계속 가지는 등 공화주의 노선을 밟고 있었기 때문에, 제정을 표방하는 신한혁명당의 활동에는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3·1독립운동(獨立運動)과 임시정부(臨時政府)의 법통성(法統性)』(이현희, 동방도서, 1987)
『대한민국임시정부사(大韓民國臨時政府史)』(이현희, 집문당, 1982)
『한국민족운동사료(韓國民族運動史料)-중국편(中國篇)-』(국회도서관, 1976)
「동제사(同濟社)의 결성(結成)과 활동(活動)」(김희곤,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48, 1985)
『조선독립운동』 Ⅰ(김정명 편, 원서방, 1967)
『朝鮮人槪況』(朝鮮總督府, 1920)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