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양파유고
양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필사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15권 7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편집 경위를 알 수 없으나 철종 연간에 편집,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6에 시 642수, 권7·8에 계(啓)·소차(疏箚)·정사(呈辭)·계사(啓辭)·밀계(密啓) 219편, 권9에 제문 9편, 표전(表箋) 3편, 발·가장 각 1편, 권10에 포사일기(曝史日記), 권11에 기해일기(己亥日記), 권12에 서행기(西行記), 권13·14에 음빙록(飮氷錄), 권15는 불윤비답(不允批答) 51편, 효종대왕어찰(孝宗大王御札) 5편, 부록으로 배향교서(配享敎書) 2편, 치제문(致祭文)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지어진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첫 작품은 11세 때 지은 「광동(狂童)」이다. 면학을 유도하기 위해 제시한 ‘미친 아이’라는 시제로 어린 시절부터 재기(才氣)를 나타낸 작품이다. 세 임금을 섬기면서 여섯 차례나 영의정에 오른 고관답지 않게 저자의 시는 소박한 야인의 품격을 지녔다.

소차(疏箚)들은 대개 사직소로서 벼슬에 연연해하지 않는 저자의 인품과 왕의 신임이 두터웠음이 나타나 있다. 밀계는 청나라에 사행(使行)해 그 곳의 상황을 적어 비밀리에 올린 계이다. 소와 계에는 이두가 섞여 있다.

「기해일기」는 1659년(효종 10) 5월 4일 효종의 승하일부터 그 달 27일까지의 일기이다. 기해예설(己亥禮說)의 발단이 된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제 문제, 재궁(梓宮: 임금·왕대비·왕비·왕세자들의 유해를 모시는 관)의 가칠(加漆), 능소(陵所)를 정하기까지의 조정 안의 동정을 상세히 기록한 내용이다.

「서행기」는 저자가 세자 책봉을 위해 중국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는 종사관으로서 사신들의 무례한 행패를 기록한 것이다.

「음빙록」은 저자가 정사(正使)로서 2차에 걸쳐 내왕한 연행록(燕行錄)으로, 청나라의 일본 원정 때 조선에 원조를 요청한 사실, 조선(朝鮮) 의관(醫官)의 인기가 높아 수행하였던 의관 안례(安禮)가 청 태후를 비롯한 귀족의 병을 고쳐 주었다는 사실 등이 담겨 있다. 이밖에도 효종이 저자에게 군국중사(軍國重事)를 문난(問難)한 어찰이 있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