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양파유고
양파유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필사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정태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철종 연간에 필사한 시문집.
내용

15권 7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편집 경위를 알 수 없으나 철종 연간에 편집,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6에 시 642수, 권7·8에 계(啓)·소차(疏箚)·정사(呈辭)·계사(啓辭)·밀계(密啓) 219편, 권9에 제문 9편, 표전(表箋) 3편, 발·가장 각 1편, 권10에 포사일기(曝史日記), 권11에 기해일기(己亥日記), 권12에 서행기(西行記), 권13·14에 음빙록(飮氷錄), 권15는 불윤비답(不允批答) 51편, 효종대왕어찰(孝宗大王御札) 5편, 부록으로 배향교서(配享敎書) 2편, 치제문(致祭文) 5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지어진 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첫 작품은 11세 때 지은 「광동(狂童)」이다. 면학을 유도하기 위해 제시한 ‘미친 아이’라는 시제로 어린 시절부터 재기(才氣)를 나타낸 작품이다. 세 임금을 섬기면서 여섯 차례나 영의정에 오른 고관답지 않게 저자의 시는 소박한 야인의 품격을 지녔다.

소차(疏箚)들은 대개 사직소로서 벼슬에 연연해하지 않는 저자의 인품과 왕의 신임이 두터웠음이 나타나 있다. 밀계는 청나라에 사행(使行)해 그 곳의 상황을 적어 비밀리에 올린 계이다. 소와 계에는 이두가 섞여 있다.

「기해일기」는 1659년(효종 10) 5월 4일 효종의 승하일부터 그 달 27일까지의 일기이다. 기해예설(己亥禮說)의 발단이 된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제 문제, 재궁(梓宮: 임금·왕대비·왕비·왕세자들의 유해를 모시는 관)의 가칠(加漆), 능소(陵所)를 정하기까지의 조정 안의 동정을 상세히 기록한 내용이다.

「서행기」는 저자가 세자 책봉을 위해 중국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는 종사관으로서 사신들의 무례한 행패를 기록한 것이다.

「음빙록」은 저자가 정사(正使)로서 2차에 걸쳐 내왕한 연행록(燕行錄)으로, 청나라의 일본 원정 때 조선에 원조를 요청한 사실, 조선(朝鮮) 의관(醫官)의 인기가 높아 수행하였던 의관 안례(安禮)가 청 태후를 비롯한 귀족의 병을 고쳐 주었다는 사실 등이 담겨 있다. 이밖에도 효종이 저자에게 군국중사(軍國重事)를 문난(問難)한 어찰이 있다.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