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강재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연강재문집
연강재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문후의 시 · 서(書) · 잡저 · 창화 등을 수록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문후의 시 · 서(書) · 잡저 · 창화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70년(고종 7) 후손 명석(命晳)이 간행하였던 것을 1911년 후손 철호(澈鎬)가 연보와 시문을 증보하여 중간하였다. 권두에 이만기(李晩耆)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익영(權翼永)과 후손 경억(景億)·명석의 발문, 권상연(權相淵)과 철호의 중간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권1은 시 12수, 창화(唱和) 9수, 권2는 소(疏) 2편, 서(書) 3편, 제문 3편, 잠(箴) 1편, 명(銘) 1편, 잡저 6편, 세계·연보 각 1편,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각 1편, 언행총록(言行總錄)·사우록(師友錄)·소유록(疏儒錄)·훈련원동도회록(訓鍊院同道會錄)·연강정동유록(練江亭同游錄)·허백정동취록(虛白亭同醉錄), 통문(通文) 2통, 봉안문 3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의 「양현신리소(兩賢伸理疏)」는 유생들을 대표하여 올린 것으로, 이언적(李彦迪)과 이황(李滉)이 국가와 학계에 끼친 공로를 높이 찬양하고 그들을 헐뜯음은 소인배들이 모략을 하고 있는 것이라 지적하면서 고서를 인용하여 그들의 정당함을 주장한 글이다.

「청오현종향문묘소(請五賢從享文廟疏)」는 김굉필(金宏弼)·정여창(鄭汝昌)·조광조(趙光祖)·이언적·이황 등 5현을 문묘에 종향시킬 것을 청한 것으로, 5현의 행적을 적고 그들이 국가와 학계에 남긴 공덕을 칭찬하면서 국가가 학문을 권장하고 왕도정치를 시행하여 태평성대를 이룩하려면 이들의 가르침에 따라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부록의 「소유록」에는 이때 소를 올릴 것을 합의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