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조 ()

목차
불교
인물
고려전기 용화사 주지를 역임한 승려.
이칭
제운(齊雲), 진각(眞覺)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870년(경문왕 10)
사망 연도
947년(정종 2)
주요 관직
용화사 주지
목차
정의
고려전기 용화사 주지를 역임한 승려.
내용

호는 제운(齊雲) 또는 진각(眞覺). 고려인으로서 중국에서 크게 명성을 떨쳤다. 당나라 말에 저장성 항저우(杭州) 지방으로 가서 선법(禪法)을 구하다가 설봉(雪峰)을 찾아 선법의 대의를 묻고 수도하였으며, 설봉의 밑에서 오도(悟道)하여 법을 전해받았다.

그는 청원행사(淸原行思)의 7세손이 되었다. 언제나 누더기 한 벌을 걸치고 대중을 위한 여러 가지 일을 사양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조포납(照布衲:누더기스님)이라고 불렀다.

설봉의 법맥을 이은 뒤 경청원(鏡淸院)에 머물다가 후저우태수(湖州太守) 전공(錢公)이 보자원(報慈院)을 창건하여 그를 모셨으며, 다시 전공은 용화사(龍華寺)를 창건하여 주지직을 맡겼다. 그는 이 절에서 선법을 전하다가 입적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오월(吳越)의 왕은 그를 내도량(內道場)으로 청하여 공양을 올리고 설법을 청하였다.

탑은 대자산(大慈山)에 세워졌다. 그의 법문 중 일부는 화두(話頭)를 집성, 편집한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에 몇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는 우리 나라의 고승들로서는 극히 찾아보기 힘든 예로서, 대표적인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느날 영조는 저녁 반달을 가리키면서 부상좌(溥上佐)에게 물었다. “저 한 조각 달이 어디로 가는가.” 부상좌가 “망상을 부리지 말라.”고 하자, 그는 “한 조각을 잃어버렸다.”고 하였다.

그리고 어느 때 한 승려가 “영단(靈丹) 하나로 철에 점을 찍으면 금을 이루듯이, 진리 한 마디로 범부에게 점찍어서 성인을 이룬다고 하니, 스님의 일점(一點)을 청합니다.” 하였다. 이에 “그대는 내가 금에 점찍어 철을 이루는 것을 알겠는가?” 하고 되물었다.

그 승려가 그러한 말을 들어보지 못하였다고 하면서 가르침을 청하자, 영조는 “일구(一句) 아래에서 깨닫지 못하면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조당집(祖堂集)』
『신수과분육학승전(新修科分六學僧傳)』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집필자
이종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