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실 장군 묘 ( )

고려시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의 무덤.
이칭
약칭
이방실묘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무덤
건립 시기
고려 후기
관련 국가
고려
관련 인물
이방실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시도기념물(1972년 7월 10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방실장군묘(李芳實將軍墓)는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의 무덤이다. 이방실은 고려 후기 2차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한 공로로 중서시랑평장사에 올랐으나, 이른바 ‘삼원수(三元帥) 살해 사건’ 당시 죽임을 당하고 이곳에 안장되었다. 묘역은 후대에 정비되어 본래의 모습은 남아 있지 않으나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의 생애와 업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정의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에 있는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의 무덤.
연원/역사적 관련 사항

이방실(李芳實, 1298~1362)은 고려 후기 2차에 걸친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올랐다. 그러나 안우(安祐), 김득배(金得培)와 함께 이른바 ‘삼원수(三元帥) 살해 사건’으로 죽임을 당하였다.

1391년(공양양 3)에 복권되어 충렬(忠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함안(咸安)에서 출생한 이방실이 사후 가평에 매장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은데, 묘소가 자리한 가평읍은 함안이씨(咸安李氏)의 세거지(世居地) 가운데 하나이다.

형태와 특징

이방실장군묘는 가평 수리봉(544.5m)의 동남쪽 지맥에 있다. 묘역은 능골로 불리는 골짜기 사이로 북서-남동 방향으로 뻗어내린 가지 능선의 정상부에 자리하며, 정면으로 북한강이 바라다보인다.

봉분은 평면 원형으로 하단에는 현대에 설치된 병풍석이 설치되어 있다. 봉분 주위에 사성(莎城)이 둘러져 있다. 봉분 정면 좌측에는 묘비(1978년 건립)가, 우측에는 기념비(1984년 건립)가 세워져 있다. 묘비에는 진양강씨(晉陽姜氏)와 영산신씨(靈山辛氏)가 합장되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봉분 전면 계체석 아래에 상석과 향로석이 놓여 있고, 무인석과 망주석 각 한 쌍이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묘역의 형태는 후대에 변형되었고 석물도 모두 현대에 제작된 것으로 조성 당시 묘제의 특징은 남아 있지 않다. 묘 아래쪽으로 이방실의 후손 이예와 이집의 묘가 자리한다. 묘역 아래에는 현대에 건립된 신도비와 사당인 충렬사(忠烈祠)가 조성되어 있다.

현황

이방실장군묘는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번지에 있다. 1972년 7월 10일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70~1980년대 후손들이 묘역을 정화하고 석물을 제작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1986년 충렬사를 건립하고 1994년 신도비를 세웠다. 매년 음력 10월 3일 함안이씨 종중에서 시향(時享)을 지낸다.

의의 및 평가

묘역은 후대에 정비되어 본래의 모습은 남아 있지 않으나,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하여 국난을 극복하는 데 큰 공로를 세운 고려 후기 무신 이방실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고려 후기의 시대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가평군의 역사와 문화유적』(가평군 · 강원대학교박물관, 1999)

논문

이종봉, 「고려 이방실 장군의 현창과 지역사회」(『지역과 역사』 41, 부경역사연구소, 2017)
홍영의, 「이방실 장군의 생애와 군사활동」(『군사』 103,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7)

인터넷 자료

국가문화유산포털(https://www.heritage.go.kr/)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디지털가평문화대전(http://gapyeong.grandculture.net/gapyeong)
함안이씨대종회(http://www.hamanlee.com)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