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덕포진 ( )

건축
유적
문화재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에 있는 수군진(水軍鎭).
이칭
약칭
덕포진
유적
건립 시기
조선 후기
관련 국가
조선
면적
48,829㎡
소재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산103-1번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1981년 9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신안리 산103-1번지
내용 요약

김포 덕포진(金浦 德浦鎭)은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수군진이다. 선조 연간에 경기도 강화에 설치되었고 1666년(현종 7) 통진으로 이전 설치되었다. 이 수군진은 바다를 통해 강화도와 도성으로 진입하는 외적을 통제하던 수군 기지 가운데 하나로 1871년 신미양요 당시 광성보, 덕진진과 함께 미군 함대에 포격을 가하여 미군의 북상을 저지한 곳이다.

정의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에 있는 수군진(水軍鎭).
건립경위

김포 덕포진(金浦 德浦鎭)은 선조 연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진은 처음 강화에 경기 수영(京畿水營) 소속 수군진(水軍鎭)으로 세워졌다가 1666년(현종 7) 통진으로 주1진을 이전해 설치하였다. 그 후 강화에는 별장(別將)을 두었다. 1677년(숙종 3) 강화에 있는 진의 명칭을 ‘덕진’으로 바꾸고 진장을 주2로 승격하였다. 1682년(숙종 8)에는 덕포진을 주진(主鎭)으로 승격하고 영종과 안흥진을 관장하게 하였다. 덕포진에는 수군 300여 명과 방선(防船) 2척, 병선(兵船) 1척, 사후선(伺候船) 3척을 배치하였다. 덕포진 본진에는 객사와 내 · 외 진사(鎭舍), 주3주4, 어변정(禦變亭), 어변청(禦變廳)이 있었고 주5 부근에 주6와 파수청(把守廳)을 설치하였다고 한다. 덕포진은 주문진, 장봉진, 영종진, 덕적진 등 경기 수영 소속의 수군진과 더불어 바다에서 강화도와 도성으로 진입하는 외적을 통제하기 위한 거점 가운데 하나였다.

덕포진은 19세기 말 서양 세력의 침입을 저지하는 군사 기지의 역할을 했다.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덕포진은 주7 주8주9, 덕진진과 함께 미군 함대에 사격을 실시해 염하(鹽河)를 통한 미군의 북상을 저지하였다. 이후 덕포진에 15개 포좌를 갖춘 포대를 설치해 강화의 포대와 대응하여 염하 수로를 방비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는 1895년(고종 32)에 폐지되었다.

변천

덕포진은 1980년 발굴 주10 이후 유적으로서 가치를 평가받아 1981년 9월 25일 사적 제292호로 지정되었다. 1981~1982년 덕포진의 포대와 토성을 보수하고 돈대지(墩臺地)와 파수청지를 정비하였다. 2011년 덕포진에서 김포 덕포진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발굴경위 및 결과

1980년 발굴 조사에서 주11, 파수청, 포대 등의 시설물이 확인되었다. 이 중 돈대는 2017년에 재발굴하였다. 덕포진의 돈대에서는 하부 기초 시설과 수구 2기를 확인하였다. 주12을 따라 돈대가 들어서서 덕포진 돈대의 평면 형태는 동서 방향으로 길고 남북 방향의 폭이 좁다. 돈대의 기초 시설 규모는 북쪽 36.2m, 남쪽 48.2m 정도가 확인되었으며, 남북의 너비는 10~11m 가량이다. 돈대의 기초는 하부에 지대석을 놓고 안쪽에 주13와 사질 주14 등을 섞어 주15 형식으로 축조하는 ‘강회판축적심’ 방식을 사용하였다. 덕포진 돈대의 평면 형태나 축조 방식은 일반적인 강화도 돈대의 평면 형태나 축조 방식과는 차이가 크다. 덕포진에 돈대를 축조한 시기는 분명하지 않은데 강화도 돈대보다 늦은 시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파수청은 포를 쏘는 불씨를 보관하는 장소이자 포병을 지휘하는 장대이다. 파수청을 발굴한 결과 그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인 것으로 추정된다. 파수청은 바깥으로 석담을 두르고, 내부에는 화덕이 있었다. 포대는 화강암 석재로 주19의 개별 주18를 구축한 뒤 포좌 상면과 좌우를 흙으로 덮어 기다란 토성 형태로 만들었다. 화포가 배치되는 포좌 안쪽 바닥에는 판석을 설치하였다. 포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소포(小包)와 중포(中包) 6문을 비롯해 탄환, 주16 등이 출토되었다. 이때 수습된 화포에는 “동치십삼년오월(同治十三年五月)”이라는 주17이 새겨져 있어 1874년(고종 11)에 화포를 주조하여 덕포진에 배치하였음을 알 수 있다.

포대의 북동쪽에 덕포진의 본진이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였으나 해당 지역에 대한 시 · 발굴조사에서 관련된 자료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밖에 포사청, 군기고, 우물 등 덕포진 내 주요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대해 여러 차례의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시설물과 관련된 흔적은 확인되지 않았다.

형태와 특징

덕포진은 김포 해안선이 손돌목에 이르러 서쪽으로 돌출하는 구릉 지대에 있다. 이곳은 도성으로 이어지는 바닷길의 길목이다. 약 1km 폭의 바다 건너에 광성보와 덕진진이 있다.

덕포진 경내의 북쪽에서부터 돈대 터와 파수청 터, 포대가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돈대는 경내의 최북단에서 염하 방면으로 좁고 길게 뻗은 지형 위에 있는데 현재 지표상에서는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 현재 파수청지는 발굴을 통해 확인된 건물의 기초부가 일부 노출되어 있다. 포대는 염하와 나란히 남북 방향으로 이어져 있으며 주20, 주21, 주22 3개의 포대로 구성되었다. 포좌는 15개가 구축되어 있으며 가장 남쪽의 ‘가’ 포대에는 7개, ‘나’ 포대에는 5개, 북쪽의 ‘다’ 포대에는 3개의 포좌가 설치되었다. 초가와 기와로 포좌의 지붕을 복원하였다.

현재 사적으로 지정된 덕포진의 면적은 약 48,794㎡이나 이는 본진을 제외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덕포진의 규모는 이보다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덕포진 본진의 위치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의의 및 평가

김포 덕포진은 전란 때 보장처(保障處)였던 강화도와 17~18세기 도성의 방어 체제 구축과 관련된 중요한 유적이다. 도성으로 연결되는 바닷길의 주요 길목에 있는 군사적 요충지로서 김포 덕포진은 신미양요 당시 손돌목에서 강화 광성보, 덕진진과 함께 미군 함대의 북상을 저지한 역사의 현장이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김포시사』 1(김포시 시사편찬위원회, 2011)
『한국고고학전문사전-성곽편-』(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김포 덕포진 돈대 유적』(국토문화재연구원, 2019)
『19세기 서구열강의 침입과 강화해양관방체제』(인천문화재단 인천역사문화센터, 2019)

인터넷 자료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https://portal.nrich.go.kr)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각 도 수군에 둔 종삼품 외직 무관(外職武官) 벼슬. 수군절도사의 아래, 수군우후의 위이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각 도의 여러 진에서 마병과 보병을 통솔하던 종사품 무관 벼슬. 우리말샘

주3

대궐이나 관청 앞에 세운 세 문. 정문, 동협문, 서협문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4

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우리말샘

주5

포를 설치하여 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든 시설물. 우리말샘

주6

무기를 넣어 두는 창고. 우리말샘

주7

염하

주8

강, 호수, 바다 따위의 건너편에 있는 언덕이나 기슭. 우리말샘

주9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에 있는 성(城). 고려가 몽고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천도하였을 때 쌓았다. 신미양요 때에는 미국과의 격전지였다. 사적 정식 명칭은 ‘강화 광성보’이다. 우리말샘

주10

땅속에 묻혀 있는 것을 파내서 그것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조사. 또는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을 찾아 밝혀내기 위해 하는 조사. 우리말샘

주11

평지보다 높직하게 두드러진 평평한 땅. 우리말샘

주12

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우리말샘

주13

칼슘의 산화물. 탄산 칼슘이나 질산 칼슘의 열분해에 의하여 생기는 흰색 고체나 가루의 염기성 산화물로, 물과는 급격하게 반응하여 높은 열을 내면서 수산화 칼슘이 된다. 실험실에서는 암모니아의 건조나 알코올의 탈수에 쓰며, 공업적으로는 수산화 칼슘, 카바이드, 유리, 비료 따위를 만들거나 금속 제련용의 용제로 쓴다. 화학식은 CaO. 우리말샘

주14

세립분이 50%이상으로 모래 성분이 상당히 포함되어 있는 찰흙. 우리말샘

주15

판자와 판자 사이에 흙을 넣고 공이로 다지는 일. 또는 그 판자와 공이. 우리말샘

주16

포신을 올려놓는 받침틀. 우리말샘

주17

글로 명백히 기록된 문구. 또는 그런 조문(條文). 우리말샘

주18

대포를 올려놓는 장치. 우리말샘

주19

내각(內角)이 모두 직각인 사각형. 주로 정사각형이 아닌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0

약물터

주21

원돌터

주22

굽도리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희인(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