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생표 ()

목차
관련 정보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정측면
양산 통도사 국장생 석표 정측면
고려시대사
제도
신라 · 고려시대에 사령(寺領)을 표시하기 위해 사찰 주변에 세웠던 표지물.
이칭
이칭
장생표탑, 장생표주, 장생(長栍)
내용 요약

장생표는 신라·고려시대에 사령(寺領)을 표시하기 위해 사찰 주변에 세웠던 표지물이다. 장생표탑(長生標塔)·장생표주(長生標柱)라고도 한다. 사찰이 소유하였거나 수조권을 행사하던 토지를 구별하기 위해 그 경계 지역에 세웠던 경계 표지이다. 재질에 따라 목장생과 석장생으로 구분한다. 석장생은 형태에 따라 입석형·석비형·석적형으로 나누어진다. 기록으로 확인되는 최초의 장생표는 759년 장흥의 보림사에 세워졌던 석비형 장생이다. 통도사의 장생표는 국가 또는 왕의 명에 따라 세워진 것으로서 특별히 국장생(國長生)이라 부른다.

목차
정의
신라 · 고려시대에 사령(寺領)을 표시하기 위해 사찰 주변에 세웠던 표지물.
개설

일명 장생표탑(長生標塔) · 장생표주(長生標柱)라고도 하며, 주1으로 약칭되기도 하였다. 사찰이 소유하고 있거나 또는 수조권(收租權)을 행사하던 토지와 여타의 토지를 구별하기 위해 그 경계지역에 세웠던 경계 표지이다.

내용

장생표의 기원에 대해서는 남근숭배(男根崇拜)와 도교의 장생불사사상이 융합되어 발생했다는 견해와, 민속신앙이었던 소도(蘇塗) · 입석(立石) · 누석단(累石壇) 등에서 연원하여 사찰의 수호신을 상징하게 되었다는 이설도 있다. 장생표는 그 재질에 따라 목장생(木長生, 木柱型)과 석장생으로 구분한다.

석장생은 형태에 따라 다시 입석형(立石型) · 석비형(石碑型) · 석적형(石積型 : 작은 돌을 여러 층으로 쌓아올려 만든 것)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 석비형과 목주형이 주종을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기록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장생표는 통일신라시대인 759년(경덕왕 18) 장흥의 보림사(寶林寺)에 세워졌던 석비형 장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영암의 도갑사(道岬寺)에 2개, 청도의 운문사(雲門寺)에 11개, 양산의 통도사(通度寺)에 12개, 안악의 연등사(燃燈寺)에 2개, 원주의 봉은사(奉恩寺)에 1개, 오대산 월정사(月精寺)에 1개의 장생표가 있었다. 이 중 1개의 도갑사 장생과 12개의 통도사 장생표는 국가 또는 왕의 명에 따라 세워진 것으로서 특별히 국장생(國長生)이라 부른다.

이러한 여러 장생표 중에서 통도사의 12국장생에 관한 기록이 비교적 상세하게 전해지고 있다. 이 국장생은 고려시대인 1085년(선종 2)에 통도사측의 요청에 의해 호부가 첩문을 내려 건립하게 한 것으로서, 사찰 입구에는 2개의 목장생표가 세워져 있었고 사방에 6개의 석비형과 4개의 석적형 장생이 있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 하북면 답곡리 주2에 세워졌던 석장생표가 현전하여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것은 높이가 166㎝이고 너비가 60㎝인 화강석 석주(石柱)에 2∼3.5촌(寸) 크기의 해서체(楷書體) 글자가 음각되어 있는 석비형으로서, 그 설치 경위가 이두로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 솔래천의 것과 같은 해에 세워지고 거의 같은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석비형 장생이 밀양군 하서면 무안리와 울주군 삼남면 상천리에서 발견되었는데, 전자는 일제침략기에 일인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후자는 현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명종실록(明宗實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
『고려토지제도사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강진철, 고려대학교출판부, 1980)
『한국사(韓國史)-중세편(中世篇)-』(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여대(麗代)의 사원전(寺院田)과 그 경작농민(耕作農民)」(김윤곤, 『민족문화논총(民族文化論叢)』 2·3, 1982)
「장생고(長生庫)」(손진태, 『손진태선생전집(孫晋泰先生全集)』 2, 태학사, 1981)
「통도사지(通度寺誌)」(한국학문헌연구소, 『한국사지총서(韓國寺誌總書)』, 아세아문화사, 1979)
「통도사(通度寺)」(한국불교연구원, 『한국(韓國)의 사찰(寺刹)』 4, 일지사, 1974)
「新羅·高麗의 土地台帳」(旗田巍, 『成大東洋學學術會議論文集』, 1975)
「高麗時代における通度寺の寺領支配」(武田幸男, 『東洋史硏究』 25-1, 1966)
「寺院經濟資料と長生標」(稻葉岩吉, 『東亞經濟硏究』 15-1·2, 1931)
주석
주1

長栍이라 표기하는 경우도 있음.

주2

省仍川이라고도 함.

집필자
김재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