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온가의 유품 ()

정온가의 유품 중 조복
정온가의 유품 중 조복
의생활
물품
조선 후기의, 문신 정온과 후손의 복식 및 전적류와 생활 자료 유품.
물품
재질
은조사
용도
관복
소장처
정우순
제작 시기
17세기 후반 이후
관련 의례
국가 대사, 경축일, 원단, 동지 등
내용 요약

정온가의 유품은 조선 문신 정온(鄭蘊)과 후손들의 전적, 복식, 생활 자료를 포함한 41점이다. 1987년에 정온의 제복과 조복 등 5점이 ‘정온의 제복’이라는 명칭으로 중요 민속 자료(현, 국가민속문화재) 제218호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2004년에 후손들의 유품인 복식류, 전적류, 생활 자료를 추가로 지정하면서 ‘정온가의 유품’으로 지정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유품으로 정온의 당시 활동 현황이 확인되며 조선 후기 이후의 복식사 연구를 할 수 있어 가치 있는 자료이다. 현재 거창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정온과 후손의 복식 및 전적류와 생활 자료 유품.
연원

정온(鄭蘊:1569~1641)은 호는 동계(桐溪)이며, 조선 중기 문신으로 1610년(광해군 2)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 대사간, 대제학, 이조 주28 등을 역임하였으며 숙종영의정으로 주29.

정온가의 유품(鄭蘊家의 遺品)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온의 집안에서 전해져 온 제복(祭服)조복(朝服) 등 5점과 정온의 자료가 포함된 전적류 5점과 후손의 유물인 복식류 21점, 생활 자료 10점을 포함한 41점의 주30이다. 정온의 집안에서 전해져 온 제복 중 흑초의(黑綃衣) 1점과 조복 중 적초의(赤綃衣), 주31, 주32, 금관(金冠) 등 총 5점이 ‘정온의 제복’이라는 명칭으로 1987년에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었으며, 2004년 정온가 유물의 전반적인 조사를 통해 정온의 자료가 포함된 전적류 5점과 후손의 유물인 복식류 21점, 생활 자료 10점을 추가로 지정하면서 ‘정온가의 유품’으로 지정 명칭이 변경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주33에 의해 문화재 지정 번호가 폐지되어 국가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유품은 조선 후기 이후의 복식사 연구와 정온의 당시 활동 현황이 확인되어 가치 있는 자료이다. 현재 거창박물관에 기탁되어 있다.

형태 및 용도

1987년에 지정된 유물로는 제복 중 흑초의 1점과 조복 중 적초의, 훈상, 중단, 금관 등 총 5점이 있다. 당시에는 정온의 것으로 평가 받았으나 이후 축적된 연구 성과에서 이들 유물의 조형성이 1600년대 후반기 이후의 것으로 추정되어 정온보다는 후대에 입었던 옷으로 재평가되었다.

제복은 종묘사직에서 거행하는 제사에 참여하는 주34이 입는 복식으로 흑초의는 주35 중 제일 겉에 입는 옷이다. 주36 항라(亢羅, 얇은 여름옷감)로 만든 홑옷으로, 뒷길이 86㎝, 주37 96.2㎝, 뒷품 53㎝의 크기이다. 주38 주39주1이 부착되어 있으며 소매통이 다소 좁은 두리 주40 형태이고 가장자리를 주2으로 마무리하였다. 몸판은 5족 주3이고 소매는 7족 항라로 만들어져 있어 후대에 수선하였을 가능성도 있는 옷이다.

조복은 주45이 국가 대사에 착용하는 주46으로 일습 중 적초의 1점, 중단 1점, 훈상 1점, 금관 1점이 남아 있다. 적초의는 조복 중 제일 겉에 입는 옷이며 겉감과 안감이 동일한 홍색의 은조사(2경 익조직)로 만든 겹옷으로, 뒷길이 83㎝, 화장 88㎝, 뒷품 47㎝의 크기이다. 깃은 목판 당코 주6형이며, 소매는 두리 소매 형태이다. 깃, 주7, 주8에 흑색의 가선을 둘러 주었으며 가슴에는 홍색 주9로 만든 겹 주10이 부착되어 있다.

중단은 적초의의 주41이다. 연한 쪽빛의 5족 항라로 만든 홑옷으로, 치수는 길이 120㎝, 화장 94㎝, 품 42㎝이다. 수구, 깃, 도련 양옆의 트임에 아청색 선이 둘러져 있고 깃과 고름도 아청색이다. 훈상은 중단을 입고 허리에 두르는 주42 치마이다. 길이 77㎝, 허리 길이는 75㎝의 크기이다. 좌우 아래에 흑색의 주43을 먼저 두른 후 허리에서 도련까지 칼주름을 잡아 주었고, 앞이 좁고 뒤가 넓은 편이다.

금관은 백관이 조복을 입을 때 쓰던 관이다. 정온의 양관은 조선시대의 1품에 해당하는 5량관이다. 뒷부분은 넝쿨무늬의 주48와 꽃, 봉황문을 형상화한 화조문이 주47으로 장식되어 있다. 잠(簪, 비녀)은 소실되고 영(纓, 갓끈)만 남아 있다.

추가로 지정된 후손들의 복식류는 주11가 부착되어 있는 단령(團領) 1점, 철릭[天翼] 1점, 동달이 2점(겹1, 홑1), 주13 1점이 있다. 또한 원삼의 부속품인 주14 1점, 족두리(簇頭里) 1점, 주49 1점, 원삼대 1점, 주50 1점이 있으며 단령의 부속품인 주15 1점, 주16 1점, 목화 1쌍이 있고 동달이의 부속품인 주51 1점, 주52 1점이 있으며 조복과 제복의 부속품인 패옥(佩玉) 한 쌍[패옥집 포함], 홀(笏) 1점이 있다. 그 외에도 주17 1쌍, 차선(遮扇) 1점, 주18 1점, 주53 1쌍 등이다.

단령은 주19로 만든 겹단령으로, 가슴과 등에 쌍학흉배(20×22cm)가 부착되어 있으며 등솔기와 주54에는 4겹 바느질을 하였다. 원삼대 속에는 일본 신문이 심으로 들어 있어 조선 말기 이후의 유물임이 확인된다. 어사화는 길이 약 180㎝ 크기로 두 가닥이 한 쌍으로 되어 3쌍 6줄로 되어 있으며 꽃은 국화 형태와 유사하며 한지로 되어 있다. 주55 갑술(1634년) 6월의 묵서가 있는 기다란 목판 사이에 넣어져 있다.

이외에 주20, 주56 강씨 묘표문(墓標文), 내사본 중용(內賜本中庸), 주21, 치제문(致祭文)의 전적류 5점과 주23, 주24, 주22, 주57 2점, 주25 5점, 생활 자료 10점이 있다.

교지(敎旨)는 1626년 동계 정온이 경상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에 임명된 주26으로 우측 하단부가 일부 결실되었다. 석침은 주27에 정온의 화엽시(花葉詩)를 새긴 것인데, 정온이 만년(1637년)에 지은 시로 정조대 정사년(1797년)에 주58 주59 문제로 출제되기도 하였다.

의의 및 평가

정온가의 유품은 의복이 부속품과 함께 전래되어 복식 사료적 가치가 있다. 또한 한 지역에서 전래되었으며, 전적류를 통해 정온의 역사적 위치나 활동 현황을 알 수 있어 보존 가치가 높다. 그러나 복식의 경우, 시기가 16세기 후반에서 조선 말기까지 광범위하여 시대 고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를 통해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2』(문화재청, 2006)
『거창의 문화재』(거창군, 2008)
『거창의 역사 문화』(거창군 문화관광과, 2010)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군신이 제복(祭服)을 입을 때 목에 걸어 가슴에 늘어뜨리는 흰 깁. 목은 고리로 되고 가슴에 속이 빈 네모꼴이 붙으며, 목의 고리 좌우에는 초록색과 붉은색의 끈을 달았다. 우리말샘

주2

홑두루마기의 앞섶이나 치마폭에 세로로 댄 단. 우리말샘

주3

명주, 모시, 무명실 따위로 짠 천의 하나. 우리말샘

주6

한복의 상의 부분에서, 여밈 끝이 버선코처럼 뾰족한 모양의 깃. 조선 시대 중기 이후에 유행한 깃의 모양이다. 우리말샘

주7

옷소매의 아가리. 우리말샘

주8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우리말샘

주9

중국에서 나는 사(紗)의 하나. 여름 옷감으로 쓴다. 우리말샘

주10

조복(朝服)이나 제복(祭服)을 입을 때 앞에 늘여 무릎을 가리던 헝겊. 우리말샘

주11

한 쌍의 학을 수놓은 흉배. 당상관 이상의 문관 공복에 붙였다. 우리말샘

주13

부녀 예복의 하나. 흔히 비단이나 명주로 지으며 연두색 길에 자주색 깃과 색동 소매를 달고 옆을 튼 것으로 홑옷, 겹옷 두 가지가 있다. 주로 신부나 궁중에서 내명부들이 입었다. 우리말샘

주14

용의 머리 형상을 새기어 만든 비녀. 우리말샘

주15

고려 말기에서 조선 시대에 걸쳐 벼슬아치들이 관복을 입을 때에 쓰던 모자. 검은 사(紗)로 만들었는데 지금은 흔히 전통 혼례식에서 신랑이 쓴다. 우리말샘

주16

벼슬아치가 공복(公服)에 갖추어 두르던 띠. 공복의 종류와 품계에 따라 달랐다. 우리말샘

주17

옥으로 만든 망건 관자. 왕과 왕족, 일품 이상의 관원은 조각을 하지 않았고, 정삼품 당상관 이상의 관원만 조각을 하였다. 우리말샘

주18

겨울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머리에 쓰는 방한용 두건의 하나. 앞은 이마까지 오고 옆은 귀를 덮게 되어 있으며 뒤에서 보면 삼각형이다. 우리말샘

주19

구름무늬를 놓아서 짠 얇은 비단. 우리말샘

주20

교육의 취지. 우리말샘

주21

베개 삼아 베는 돌. 우리말샘

주22

자치기를 할 때 쓰는 긴 막대기 우리말샘

주23

댓개비로 만든 쥘부채. 우리말샘

주24

담배, 돈, 부시 따위를 싸서 가지고 다니는 작은 주머니. 가죽, 종이, 헝겊 따위로 만든다. 우리말샘

주25

조선 시대에, 신분을 증명하기 위하여 16세 이상의 남자가 가지고 다녔던 패. 직사각형으로 앞면에는 성명, 나이, 태어난 해의 간지를 새기고 뒷면에는 해당 관아의 낙인을 찍었다. 이품 이상과 삼사(三司)의 벼슬아치는 관아에서 제작한 것을 지급받았으며, 그 외는 성명ㆍ출생 신분ㆍ직역ㆍ거주지 따위를 단자(單子)로 만들어 관아에 제출하면 관아 단자와 대조하여 낙인을 받은 뒤에 지급받았다. 우리말샘

주26

조정에서 내리는 벼슬아치의 임명장. 우리말샘

주27

유문암질(流紋巖質) 또는 안산암질(安山巖質) 따위의 마그마가 급격히 식으면서 굳어져 이루어진 화산암. 회색 또는 검은색을 띠고 유리 광택이 있으며, 조가비 모양의 단구(斷口)를 가진다. 아름다운 것은 장식품의 돌로 쓰고, 비석ㆍ도장ㆍ그릇ㆍ단열재 따위의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28

이조에 속한 종이품 벼슬. 이조 판서의 아래이다. 우리말샘

주29

나라에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에 품계가 높아지다. 우리말샘

주30

고인(故人)이 생전에 사용하다 남긴 물건. 우리말샘

주31

조선 시대에, 임금이 곤룡포 위에 입던 비단 치마. 앞은 세 폭, 뒤는 네 폭을 이어 만든다. 우리말샘

주32

남자의 상복(喪服) 속에 입는 소매가 넓은 두루마기. 우리말샘

주33

글로 써서 게시하여 널리 알림. 주로 행정 기관에서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알리는 경우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34

제사를 맡은 관원. 우리말샘

주35

옷, 그릇, 기구 따위의 한 벌. 또는 그 전부. 우리말샘

주36

청금석의 빛깔과 같이 검은색을 띤 푸른색. 우리말샘

주37

저고리의 깃고대 중심에서 소매 끝까지의 길이. 우리말샘

주38

조선 시대에, 무관이 입던 웃옷. 깃이 곧고 뻣뻣하며 소매가 넓다. 우리말샘

주39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목에 둘러대어 앞에서 여밀 수 있도록 된 부분. 위의 가장자리는 동정으로 싼다. 우리말샘

주40

한국 전통 소매 중 직선 배래의 하나. 소매통이 넓으며 소맷부리의 위에서 18~22cm가량 터지고 아래로는 막힌 모양이다. 우리말샘

주41

겉옷 안에 끼어 입은 옷. 우리말샘

주42

의례를 치르는 데 씀.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3

옷 따위의 가장자리를 다른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림. 또는 그 헝겊. 우리말샘

주45

모든 벼슬아치. 우리말샘

주46

의식을 치르거나 특별히 예절을 차릴 때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47

아교에 개어 만든 금박 가루.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쓸 때 사용하며, 특히 어두운 바탕의 종이에서 독특한 효과를 낸다. 우리말샘

주48

덩굴이 뻗는 풀. 우리말샘

주49

어린 여자아이가 드리는 자줏빛 댕기. 작은 헝겊을 두 끝이 뾰족하게 겹쳐 포개고 그 허리를 접은 곳에 댕기를 달았는데, 그 종댕기를 머리 가닥에 넣어서 땋았다. 우리말샘

주50

첩지를 쓴 머리. 우리말샘

주51

조선 시대에, 구군복(具軍服) 차림에 전복(戰服) 위의 가슴에 두르던 띠를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52

구식 군복에 띠던 남색 띠. 장교 이상은 명주, 군졸은 무명으로 하였다. 우리말샘

주53

조선 시대에, 문무과에 급제한 사람에게 임금이 하사하던 종이꽃. 우리말샘

주54

한복 소매 아래쪽에 물고기의 배처럼 불룩하게 둥글린 부분. 우리말샘

주55

중국 명나라의 마지막 황제 의종(毅宗) 때의 연호(1628~1644). 명나라가 망한 뒤에도 조선은 청나라 연호를 쓰는 것을 꺼려 이 연호를 사용하였다. 우리말샘

주56

조선 시대에, 정이품ㆍ종이품 문무관의 아내에게 주던 봉작. 숙부인의 위, 정경부인의 아래로, 고종 2년(1865)부터는 이품 종친의 아내에게도 주었다. 우리말샘

주57

일정한 표적으로 삼기 위하여 개인, 단체, 관직 따위의 이름을 나무, 뼈, 뿔, 수정, 돌, 금 따위에 새겨 문서에 찍도록 만든 물건. 우리말샘

주58

과거(科擧)의 문과와 무과를 소과(小科)에 상대하여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59

과거(科擧)의 글제.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은주(안동대학교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