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희 ()

목차
관련 정보
연극
개념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아시아의 전통 공연 예술인 산악(散樂) · 백희(百戱)의 한 종목에 속하는 것으로, 배우가 행하는 골계적인 성격의 연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우희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아시아의 전통 공연 예술인 산악(散樂)·백희(百戱)의 한 종목에 속하는 것으로, 배우가 행하는 골계적인 성격의 연희이다. 한국에는 삼국시대에 유입되었으며, 연희의 양상에 따라 인물과 소리 등을 흉내 내는 우희, 왕과 관리 등 지배층과 각종 시사 사건들을 풍자하는 우희로 구분된다. 우희는 이후 가면극, 판소리, 재담 등 전통 공연 예술에 영향을 주었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동아시아의 전통 공연 예술인 산악(散樂) · 백희(百戱)의 한 종목에 속하는 것으로, 배우가 행하는 골계적인 성격의 연희.
내용

우희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무용, 음악, 연극, 체육, 무술 등이 세분화되지 않은 채 연행되던 공연 예술인 산악(散樂) · 백희(百戱)에 속하는 한 종목이었다. 곡예와 묘기, 환술, 각종 동물로 분장한 주1, 동물 재주 부리기, 괴뢰희라고 불린 인형극, 골계희, 주2, 악기 연주 등이 산악 · 백희에 속하는데, 이 가운데 배우에 의해 연행되었던 주3 성격의 연희인 골계희가 바로 우희이다.

우희는 삼국시대에 중국과 서역으로부터 산악 · 백희가 전래하면서 그에 포함되어 들어온 것으로 파악된다. 물론 산악 · 백희가 전래하기 이전에도 한국에는 이미 특정 대상에 대한 신체적 모방, 골계적 연출, 기지 있는 언변을 통한 풍자 등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충분하다. 다만 이러한 자생적인 양상들이 보다 양식화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중국과 서역으로부터 전래한 우희가 미친 영향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삼국시대 이후 우희의 양상을 보여주는 자료로, 『삼국사기(三國史記)』 「잡지(雜志)」 중 최치원의 「향악잡영오수(鄕樂雜詠五首)」에 언급된 다섯 가지 놀이 중 월전(月顚)에 대한 기록, 『고려사(高麗史)』‘하공진(河拱辰)놀이’상장군(上將軍) 정인경(鄭仁卿)주4와 장군 간홍(簡弘)의 주5, 외국인을 흉내 내는 우희에 대한 기록, 유몽인(柳夢寅)『어우야담(於于野談)』 중 귀석의 ‘ 진상(進上)놀이’와 ‘시예종실(試藝宗室)놀이’에 대한 기록,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의 우인 공결(孔潔)의 우희 및 공길(孔吉)의 노유희(老儒戱)에 대한 기록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자료로부터 파악되는 우희의 양상은 첫째, 배우가 동작, 몸짓, 표정, 춤, 말소리 등으로 인물과 소리 등을 흉내 내는 우희와 둘째, 왕이나 탐관오리 등 지배층의 모습이나 각종 시사적인 사건을 소재로 삼아 풍자하는 우희로 크게 구분된다.

삼국시대 이후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궁중과 민간에서 널리 연행된 우희는 그 자체의 양식으로 널리 전승되는 한편, 가면극, 판소리, 줄타기, 재담 등의 발달에 영향을 주거나 서로 결합하기도 했다. 특히 재담을 중심으로 한 우희의 전통은 박춘재로 이어져 근대 극장의 공연물로 자리 잡기도 했다.

참고문헌

단행본

고정옥, 『조선구전문학연구』 (과학원출판사, 1962)
사진실, 『한국연극사 연구』 (태학사, 1997)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樂·戱·劇』 (태학사, 2002)
이두현, 『한국연극사(신수판)』 (학연사, 2000)
전경욱,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2004)
전경욱, 『한국전통연희사』 (학고재, 2020)
전경욱 외, 『한국전통총서 07: 가면극 우희』 (민속원, 2020)
주석
주1

탈을 쓰고 하는 전통극 양식. 탈춤, 오광대놀이, 산대놀이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극적 줄거리를 노래와 춤으로 나타내는 전통적 공연 양식. 우리말샘

주3

익살을 부리는 가운데 어떤 교훈을 주는.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

난쟁이처럼 목을 움츠리고 두 어깨를 으쓱하며 허리를 구부리고 추는 병신춤. 우리말샘

주5

광대 한 사람이 고수(鼓手)의 북장단에 맞추어 서사적(敍事的)인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엮어 발림을 곁들이며 구연(口演)하는 우리 고유의 민속악. 조선 숙종 말기에서 영조 초기에 걸쳐 충청도, 전라도를 중심으로 발달하여 왔으며, 지역에 따라 동편제, 서편제, 중고제로 나뉜다. 우리나라 국가 무형유산이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