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불암 ()

목차
관련 정보
해남 진불암
해남 진불암
불교
유적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조선후기 극현이 덕호와 함께 중건한 암자. 대흥사.
목차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조선후기 극현이 덕호와 함께 중건한 암자. 대흥사.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산내암자이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1630년(인조 8) 극현(克玄)이 덕호(德浩)와 함께 중건하였고, 1693년(숙종 19) 이홍록(李弘錄)이 덕탄(德坦)과 더불어 중건하였으며, 1750년(영조 26) 온곡대사(溫谷大師)가 우일(宇一)과 함께 중수하였다. 그 뒤 1740년(영조 16)에 위일(位一)이, 1791년(정조 15)에 정능(定能)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응진당·향적당·요사 등이 있다. 응진당은 정면 3칸의 조그마한 전각이며, 그 옆으로 약 50년 전에 건립된 요사채가 있다. 응진당 안에는 조선 초기의 목조 16나한상(羅漢像)이 봉안되어 있는데, 그 조각수법이 특이하다. 원래 이 나한상은 50m 상방에 위치했던 고진불암(古眞佛庵)에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강진에 살던 어부 서씨(徐氏)가 바다에서 고기를 잡다가 서쪽나라의 배를 만났는데, 그 배 안에 16나한상이 실려 있었으므로 두륜산방(頭輪山房)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또한 1709년에 조성한 강희48년명 동종이 있었으나 폐사될 때 대흥사 부속암자인 청신암(淸神庵)으로 옮겨 봉안되었다가 지금은 대흥사 서산대사박물관에 보관 중이다. 전체 높이 70㎝, 아래 지름 50㎝인 이 종은 조선 후기의 주종수법을 고찰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종을 거는 용두(龍頭)는 단룡(單龍)으로 나타냈고 종의 사방에는 4보살과 유곽(乳廓)을 표시하였다. 위쪽의 상대(上帶)에는 뾰족하게 앙련(仰蓮)을 조각하였고 그 아래에는 보다 평범하게 다시 연화를 나타내었으며 다시 그 아래는 유두(乳頭)모양의 돌출된 선을 돌려 마감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아름다운 당초문을 조각하였다. 지금은 대흥사서산대사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현재의 규모는 작으나 영곡(靈谷)·영파(影波)·만화(萬化)·운담(雲潭)·아암(兒庵) 등의 고승들이 머물렀던 유서 깊은 암자이다.

참고문헌

『대둔사지(大芚寺誌)』
『전통사찰총서』6(사찰문화연구원, 1996)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김위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