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가산 개암사 ( )

불교
유적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묘련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사찰.
유적/건물
소재지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개암로 248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개암사는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묘련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사찰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이 절에서 500m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울금바위는 백제의 유민들이 왕자 부여풍(扶餘豐)을 옹립하고, 3년간에 걸쳐 백제부흥운동을 폈던 주류성으로 비정되기도 한다. 1749년이라는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부암 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및 초본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고, 1689년에 조성된 개암사 동종이 있다.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승려 묘련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사찰.
건립 경위와 변천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주1이다. 634년(무왕 35)에 승려 묘련(妙蓮)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사찰이다.

개암이라는 이름은 기원전 282년 변한(弁韓)의 문왕이 진한(辰韓)과 마한(馬韓)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 도성을 쌓을 때, 우(禹)와 진(陳)의 두 장군으로 하여금 좌우 계곡에 왕궁 전각을 짓게 하였는데, 동쪽을 묘암(妙巖), 서쪽을 개암이라고 한 데서 비롯되었다.

17세기에 밀영(密英)이 지은 「개암사별기(開巖寺別記)」에 따르면 676년(문무왕 16)에 원효의상이 이곳에 이르러 우금암(禹金巖) 밑의 굴 속에 머물면서 주2 하니 신라가 백제 부흥군을 제압한 후 개암사를 주3 것으로 볼 수 있다.

1276년(충렬왕 2)에 원감국사(圓鑑國師)는 조계산 송광사에서 이곳 원효방(元曉房)으로 와서 지금의 자리에 절을 주4, 주5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황금전(黃金殿)을 중심으로 하여 동쪽에는 청련각(靑蓮閣), 남쪽에는 청허루(淸虛樓), 북쪽에는 팔상전(八相殿), 서쪽에는 응진당(應眞堂)과 명부전(冥府殿)을 지었으며, 총 30여 동의 건물을 세워 『능가경(楞伽經)』을 강의하면서 많은 사람을 교화하였다. 이 때문에 산의 이름을 ‘능가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조선 태종(太宗, 재위 1400~1418) 14년(1414) 폐허가 된 것을 선탄(禪坦)이 중창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황금전을 제외한 전 주6가 소실되었다.

그 뒤, 1636년(인조 14)에는 계호(戒浩)가, 1658년(인조 36)에는 밀영(密英)과 혜징(慧澄)이 대웅전을 중건하였다. 1728년(영조 4)에는 법천(法天) · 찬견(贊堅)이 명부전을 중건하고, 1733년(영조 9)에는 하서암(下西庵) · 석주암(石柱庵) · 월정암(月精庵)을 중건하였다. 1737년(영조 13)에는 시왕상과 16나한상을 조성하다. 1783년(정조 8)에는 승담(勝潭)이 중수하였다.

1913년에는 화은(華隱)이 주7을 짓고, 1960년에 주8을 해체 복원하였다. 1993년 응향각을 복원하였고, 이듬해 일주문을 짓고 응진전을 해체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보전을 비롯하여 인등전 · 응향각 · 응진전 · 일주문과 월성대 및 요사가 있다.

형태와 특징

이 절에서 500m 떨어진 곳에 울금바위라는 큰 바위가 있고, 이 바위에는 모두 3개의 동굴이 있다. 그 가운데 원효방 또는 우금굴이라는 굴 밑에는 조그만 웅덩이가 있어 물이 괸다. 전설에 의하면 원래 물이 없었으나 원효가 이곳에 수도하기 위해 오면서부터 샘이 솟아났다고 한다. 또한, 이 바위를 중심으로 한 지역은 주류성(周留城)으로 비정되는데, 백제의 유민들이 왕자 부여풍(扶餘豐)을 옹립하고, 3년에 걸쳐 백제 부흥운동을 폈던 사적지로도 유명하다.

유물로는 보물로 지정된 부안 개암사 대웅전개암사 영산회 괘불탱 및 초본이 있고, 개암사 동종개암사 응진전 십육나한상, 청림리 석불좌상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부안 개암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대표적인 조선 중기 건물이다. 예전의 황금전이 바로 지금의 대웅보전이다. 1979년에는 대웅전에 모셔진 삼존불 중 본존불의 왼쪽 손 주변에서 개암사 연혁 및 백제 부흥운동과 관련된 내용이 적힌 「개암사별기」가 발견되었다. 영산회 괘불탱은 총 27장의 삼베에 이어 그려진 세로 1,321cm, 가로 917cm의 거대한 크기의 불화이다. 1749년(영조 25) 승려화가 의겸이 참여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어 18세기 중엽의 불화 특징을 잘 보여 준다. 이와 함께 불화의 밑그림인 초본이 남아 있어 불화의 제작 과정과 주9 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개암사 동종은 1689년(숙종 5)에 조성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개암사중건사적기(開巖寺重建寺蹟記)』
『개암사중건연혁기(開巖寺重建沿革記)』
「개암사별기(開巖寺別記)」
「법당중창기문(法堂重創記文)」

단행본

유경희, 『개암사 괘불: 보물 1269호』 (국립중앙박물관, 2014)

논문

김영관, 「周留城의 位置와 開巖寺 別記, 禹金巖圖」 (『백제학보』 44, 백제학회, 2023)
신광희, 「부안 개암사 <영산회괘불도> 연구」 (『동악미술사학』 32, 동악미술사학회, 2022)
주석
주1

불교의 한 종파의 우두머리인 큰절의 관리를 받는 작은 절. 또는 큰절에서 갈라져 나온 절. 우리말샘

주2

건축물 따위의 낡고 헌 것을 손질하며 고치다. 우리말샘

주3

절이나 왕궁 따위를 보수하거나 고쳐 짓다. 우리말샘

주4

낡은 건물을 헐거나 고쳐서 다시 짓다. 우리말샘

주5

규모가 크거나 이름난 절. 우리말샘

주6

정당(正堂)과 옥우(屋宇)라는 뜻으로, 규모가 큰 집과 작은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좌선하는 집. 보통 절 안의 왼쪽에 있다. 우리말샘

주8

부처를 모셔 두는 건물. 우리말샘

주9

필세에서 풍기는 운치.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