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1.1㎝, 입지름 3.6㎝, 밑지름 7.8㎝.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8각의 항아리 몸체 위에 목이 긴 병이 얹혀 있는 일종의 표형병으로, 조선 후기에 새로이 나타난 기형이다.
한국적인 익살이 넘치는 이 표형병은 아래 부분에 모깎기된 단아한 항아리의 모습과 위쪽의 유연한 곡선을 지닌 병이 자연스럽게 어울려 있는데, 곡선과 각이 조화를 이루어 참신한 느낌을 주고 있다.
문양은 밝은 청화안료(靑華顔料)를 사용하여, 몸체 윗부분 양면에는 능숙한 필치로 칠보문(七寶文)을 그렸고 아래 부분 세 곳에는 활짝 핀 모양의 난초문이 비교적 단정하게 그려져 있다. 유약(釉藥)은 담청색(淡靑色)을 머금은 백자유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안정감이 있는 넓은 굽다리에는 가는 모래받침으로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이와 같은 표형병의 파편이 경기도 광주 금사리(金沙里) 가마터에서 발견된 바 있어, 18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기형의 세련미나 유태(釉胎)의 정치함, 청화 문양의 격조 등에서 단연 뛰어난 경지를 보이는 대표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