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류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후기, 창고에 쌓여 있어야 할 환곡(還穀)은 없고 문서상으로는 실제로 있는 것처럼 거짓 기록만 남아 있는 것.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 후기
내용 요약

허류는 조선 후기, 창고에 쌓여 있어야 할 환곡(還穀)은 없고 문서상으로는 실제로 있는 것처럼 거짓 기록만 남아 있는 것이다. 지방관이 세금이나 환곡을 제대로 징수하지 못하였지만 처벌을 두려워하여 할당량을 모두 징수하였다고 보고하면, 창고에는 곡식이 없고 문서상으로만 존재하는 허류가 된다. 17세기 후반부터 환곡이 증가하면서 문서상에만 존재하는 곡식이 증가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전체 환곡의 절반 이상이 장부상으로만 존재하는 허류곡(虛留穀)이 되어 그 폐단이 극심하였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창고에 쌓여 있어야 할 환곡(還穀)은 없고 문서상으로는 실제로 있는 것처럼 거짓 기록만 남아 있는 것.
내용

조선 후기에 창고에 쌓여 있어야 할 환곡(還穀)은 없고 문서상으로는 실제로 있는 것처럼 거짓 기록만 남아있는 것이다. 지방관이 세금이나 환곡을 제대로 징수하지 못하였음에도 처벌을 두려워하여 할당량을 모두 징수하였다고 보고하면, 창고에는 곡식이 없고 문서상으로만 존재하는 허류가 된다. 17세기 후반부터 환곡이 증가하면서 문서상에만 존재하는 곡식이 증가하였고, 19세기 후반에는 전체 환곡의 절반 이상이 장부상으로만 존재하는 허류곡(虛留穀)이 되어 그 폐단이 극심하였다.

조선시대의 지방관은 세금 징수에 대한 책임이 있었고, 정해진 기한 내에 징수를 완료하지 못하면 처벌을 받았다.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상평청에서도 환곡을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환곡의 액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약 1,000만석으로 환곡의 액수가 급증하였다.

환곡 총액이 증가함에 따라 지방관이 실제로는 거두지 못하였음에도 징수하였다고 허위 보고하는 행위도 증가하였다. 지방관의 이런 행위는 흉년이라든지 긴급한 일로 창고의 재원을 사용하려고 할 때에 발각되었다.

환곡을 제대로 징수하지 못한 수령을 처벌하는 규정은 1698년(숙종 24)에 편찬된 『 수교집록(受敎輯錄)』에서부터 1865년(고종 2)에 편찬된 『 대전회통(大典會通)』에 이르기까지 나타나고 있다. 대체로 녹봉(祿俸)해유(解由)에 얽매이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볼기를 맞는다거나 잡아다가 심문하기도 하는 등 점차 그 규정이 강화되었다.

환곡을 제대로 징수하지 못한 지방관의 처벌 규정이 강화된다는 것은 그만큼 환곡 징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지방관은 가을에 환곡을 징수하지 못하였지만 징수하였다고 보고하고는, 다음 해 봄에 농민들에게 곡식을 나누어 주지도 않고 분급한 것으로 거짓 문서를 작성하여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런 행위를 번작(反作)이라고 한다. 지방관의 환곡 징수의 부정 행위가 또 다른 부정 행위를 초래하고 있었다.

환곡은 흉년이 들었을 때나 환곡을 받은 사람이 사망하면 징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왕조 정부에서는 때때로 징수하지 못한 환곡을 탕감해 주기도 하였다. 그러나 지방관이 허록한 것은 장부상에는 징수한 것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탕감에 포함될 수 없었다.

변천 사항

19세기에 들어서 환곡의 액수가 감소하고 있었고, 환곡의 주1을 재정에 충당하는 비율이 증가하면 징수하지 못한 환곡을 탕감하라는 조치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장부상에만 존재하는 허류곡이 급증하여 1862년에는 전국적으로 전체 환곡의 54%가 장부상에만 자리하고 있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전회통(大典會通)』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수교집록(受敎輯錄)』

단행본

문용식, 『조선후기 진정과 환곡운영』(경인문화사, 2000)
정약용 저, 다산연구회 역주, 『역주 목민심서』(창작과비평사, 1981)

논문

송찬섭, 「조선조 18~19세기 경상도지역 환곡운영의 변동」(『역사교육』 101, 역사교육연구회, 2007)
오일주, 「조선후기 재정구조의 변동과 환곡의 부세화」(『실학사상연구』 3, 모악실학회, 1992)
양진석, 「18․19세기 환곡에 관한 연구」(『한국사론』 21,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989)

인터넷 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http://dh.aks.ac.kr/sillokwiki)
주석
주1

환자(還子)를 받을 때, 곡식을 쌓아 둘 동안 축이 날 것을 미리 셈하여 한 섬에 몇 되씩 덧붙여 받던 곡식.    우리말샘

집필자
문용식(전주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