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곡집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신 남용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5년 경에 간행한 시문집.
문헌/고서
간행 시기
1695년(숙종 21)
저자
남용익(南龍翼)
편저자
남용익(南龍翼)
권책수
18권 9책
판본
목판본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내용 요약

『호곡집(壺谷集)』은 조선 후기 문신 남용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5년 경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총 18권 9책의 목판본으로,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자와 연기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저자의 아들인 남정중(南正重)이 저자의 사후에 가장(家藏)된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간행한 것으로 보인다. 총 18권에 걸쳐 다양한 시문(詩文)이 수록되어 있으며, 특히 일본과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 지은 시문을 모은 「부상록(扶桑錄)」과 「연행록(燕行錄)」이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문신 남용익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95년 경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18권 9책이다. 1695년(숙종 21) 경에 간행된 목판본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도 권 1~10, 권 13~18의 16권 8책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저자 남용익(南龍翼) 시문은 생전에 상당 부분 정리되어 주1의 단계에까지 갔던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의 사후에 저자가 자편한 시문을 바탕으로 문집이 간행되었으나, 서문과 발문이 없어 간행의 시기와 장소, 간행을 주도한 인물이 누구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호곡집』에 있는 송병익(宋炳翼)의 주18과 「한국책판목록총람(韓國冊板目錄總覽)」에 기록된 『호곡집』의 소장 기록을 바탕으로 볼 때, 『호곡집』은 1695년(숙종 21) 경에 간행되었던 것으로 추정한다. 그리고 당시 『호곡집』의 간행을 주도한 인물은 저자의 아들인 남정중(南正重)으로 보인다. 그는 저자의 사후에 집에 보관된 자편고(自編稿)를 바탕으로 주4을 수집 · 편차하여 1695년경에 장인인 경상감사 이인환(李寅煥)의 도움을 받아 18권 9책의 목판본으로 본집을 간행하였다.

구성과 내용

문집의 서문과 발문은 없지만, 작품을 시체와 문체별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이 중에서 시는 권 1부터 권 13까지 두루 실려 있다.

권 1부터 권 4까지는 칠언 주5, 권 5와 권 6 전반에는 오언 주6, 권 6 후반부터 권 8에는 칠언 주7 · 오언 주8 · 육언 절구, 권 9에는 칠언 주9 · 오언 주10 · 칠언 주11, 권 10에는 오언 주12 · 주13를 수록하였다.

권11과 권 12에는 통신사(通信使)로 일본을 다녀올 때 지은 시집인 『부상록(扶桑錄)』과 중국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 지은 『연행록(燕行錄)』을 수록하였다. 특히 『부상록』과 『연행록』은 남용익의 소중화(小中華) 의식과 주16 의식이 문학으로 구현되는 양상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권 13에는 『과제록(課製錄)』 · 『응제록(應製錄)』 · 주14을 수록하였는데, 『과제록』까지가 시이며, 『응제록』은 시가 2편이고 나머지는 제문(祭文)책문(冊文)이 대부분이다.

권 14에는 여문 · 소(疏)를 수록하였고, 권 15에는 주15 · 계사(繫辭) · 서(書) · 기(記), 권 16은 발(跋)과 제문을 수록하였다.

권 17은 묘지명, 권 18은 묘갈명 · 묘표 · 잡저로 구성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호곡집』은 『호곡만필(壺谷漫筆)』과 함께 시인이자 문예 비평가로서 남용익의 문학을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그의 한시는 자연미(自然美)의 표현, 일상생활의 주17, 유가 정신(儒家精神)의 구현 등을 특징으로 하며, 조선시대 한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가원, 『조선문학사 중』(태학사, 1997)

논문

안말숙, 「호곡 남용익의 생애와 시세계」(『수련어문논집』 26·27, 수련어문학회, 2001)
임채명, 「남용익의 「부사산가」 연구」(『한자한문교육』 20,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인터넷 자료

한국고전종합DB: 호곡집 해제(https://db.itkc.or.kr/)
주석
주1

자신의 글을 스스로 정리하여 편집함.

주3

물건 따위가 집에 보관되다. 우리말샘

주4

생전에 남긴 글. 우리말샘

주5

칠언 율시(七言律詩):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율시. 모두 8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6

오언 율시(五言律詩):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율시. 우리말샘

주7

칠언 절구(七言絕句):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절구. 모두 4구로 이루어진다. 우리말샘

주8

오언 절구(五言絕句):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절구. 중국 당나라 때에 성행하였다. 우리말샘

주9

칠언 배율(七言排律):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배율. 우리말샘

주10

오언 배율(五言排律):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다섯 글자로 된 배율(排律). 중국 육조 시대의 제나라ㆍ양나라 때에 시작하였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1

칠언 고시(七言古詩): 한시(漢詩)에서, 한 구가 칠언으로 된 고시. <초사(楚辭)>, 항우의 <해하가>, 한나라 고조의 <대풍가(大風歌)>, 한나라 무제의 <추풍사>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2

오언 고시(五言古詩): 한시(漢詩)에서, 한 구(句)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진 고체(古體). 염(簾)을 보는 일이나 글귀 수에 제한이 없이 운(韻)을 달아 몇 구로든 지을 수 있다. 우리말샘

주13

한시에서, 요체ㆍ회문ㆍ측기 따위와 같이 운율ㆍ수사ㆍ구법상의 변체(變體)로 생각되는 문체로 쓴 시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중국의 육조와 당나라 때 성행한 한문 문체. 문장 전편이 대구로 구성되어 읽는 이에게 아름다운 느낌을 주며, 4자로 된 구와 6자로 된 구를 배열하기 때문에 사륙문(四六文)이라고도 한다. 우리말샘

주15

조선 시대에, 일정한 격식을 갖추지 않고 사실만을 간략히 적어 올리던 상소문. 우리말샘

주16

외국 사람을 오랑캐로 얕보고 배척함. 우리말샘

주17

한가로운 심정. 우리말샘

주18

개인, 공공 단체, 문고 따위에서 간직하는 책에 찍어서 그 소유를 밝히는 도장.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