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 ( ▽)

양산 통도사 석가여래괘불탱
양산 통도사 석가여래괘불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통도사 석가여래 괘불탱(通度寺 釋迦如來 掛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2년 10월 19일 지정)
소재지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통도사 성보박물관 (지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그림 맨 하단 좌우에 남아 있는 화기(畵記)에 의하면, 이 괘불탱은 1767년(영조 43)에 두훈을 비롯한 14인의 화승이 태활 등 80여 명의 시주를 받아 조성되었다고 한다. 또 개성괘불기(改成掛佛記)에는 보살형의 주존이 석가불이며, 앞서 봉안되던 통도사괘불이 1766년 성도재일에 모셔졌다가 바람에 찢어지자 이듬해인 1767년에 이 괘불을 다시 조성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내용

괘불의 상단과 좌우 가장자리에는 범자문을 둘렀으며, 원형 두광을 따라 화사한 운문이 둥글게 감싸고 있다. 영락이 장식된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는 보살형의 주존은 상체가 넓고 둥근 편이다. 좌우 성중들이 생략되고 독존이 화면 중심에 크게 배치된 간략한 구도이다. 보관에는 5구의 화불이 좌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중앙의 여래는 지권인을 취하고 있다. 주존의 손모양은 양손의 엄지와 중지를 맞대 설법인을 취한 상태에서 오른손은 가슴 위로 들어 올려 연화가지를 들고 왼손바닥으로는 연화가지의 밑을 받치고 있다. 전반적으로 화려한 문양이 장식된 불의에 비해 모란꽃이 장식된 신광은 채색이 단순하게 처리됨으로써 불신이 더욱 돋보이는 효과를 주었다.

특징

단정하고 세련된 필선과 안정감 있고 균형 잡힌 신체, 다양하고 섬세한 문양의 표현이 뛰어나 화면에 명랑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괘불을 조성한 두훈이 1년 앞서 조성한 법주사 괘불(1766년)과 비교해 볼 때 세부적인 표현에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화면의 구성이나 크기, 문양, 색감, 도상 등이 동일하여 주목된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18세기 조선 영·정조대 불상 도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2 -통도사 본사편 중-(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