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 ▽)

목차
관련 정보
강화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강화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전등사 약사전 현왕탱(傳燈寺 藥師殿 現王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보살도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2년 12월 23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전등사로 37-41 (길상면, 전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 전등사 약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불화.
개설

현왕탱은 사람이 죽은 지 3일 만에 사자(死者)를 심판한다는 현왕과 그 권속을 그린 불화이다. 1884년(고종 21) 금어 동호진철(東昊震徹)과 긍법(肯法)이 조성하였으며, 2002년 12월 23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면(綿) 바탕에 채색하였으며, 크기는 세로 103.2㎝, 가로 83.5㎝이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현왕탱과 달리 현왕 앞에 서안(書案)이 없어 현왕의 하체가 모두 드러나 있으며, 정면을 향하지 않고 비스듬히 앉아 있어서 장대한 현왕의 풍모가 잘 전달된다. 현왕 주위를 둘러싼 판관(判官)들은 독특한 의관을 착용한 채 주로 기다란 경책을 들고 있기도 하고, 두루마리에 판결을 쓰고 있으며, 이를 여러 권속들이 재미있는 표정으로 지켜보고 있다. 두루마리 아래에는 머리를 쌍타원으로 딴 동자가 벼루를 들고 시종하고 있다. 현왕이 의자에 앉은 자세도 자연스럽고 판관들의 몸짓도 제각각으로 생동감이 있다.

그림 전체는 원형 구도를 사용하여 인물들의 시선이 모두 두루마리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하였다. 현왕과 판관들은 주로 금니(金泥)의 문양이 있는 붉은 포복을 입고 있는데, 바닥은 다른 현왕탱과 달리 회색의 농담을 달리해 마름모꼴의 무늬로 처리하였다.

의의와 평가

경상북도 의성 지장사(地藏寺) 현왕탱(1880년)과 동일한 초본을 사용했는데, 조선 말기 하나의 초본이 여러 지역으로 흩어져 사용된 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선 후기 탱화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조계사 직할사찰편』(성보문화재연구원, 2005)
김윤희, 「조선후기 명계불화 현왕도 연구」(『미술사학연구』270,한국미술사학회,2011)
정명희, 「봉안 공간과 의례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현왕도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成佛寺 現王圖」를 중심으로」(『미술자료』, 2009)
집필자
탁현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