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회도 ( )

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회도
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회도
회화
작품
문화재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청암사 육화료 큰 방에 봉안된 조선시대 아미타불회도.
이칭
이칭
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탱, 미타회탱(彌陀會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09년 08월 31일 지정)
소재지
증산면 평촌리 688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청암사 육화료 큰 방에 봉안된 조선시대 아미타불회도.
구성 및 형식

세로 184㎝, 가로 211.4㎝ 크기의 삼베를 먹으로 물들이고 황색 선으로 아미타불의 극락모임을 그렸다. 화기(畵記)에 불화 이름이 ‘미타회탱(彌陀會幀)’으로 되어있고, 직지사(直指寺) 내원암(內院庵)에서 그렸다. 2009년 8월 31일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1790년 양공(良工) 제한(濟閑) 등 7명의 화승에 의해 제작된 아미타불회도는 각 존상의 신체를 황색으로 칠하고 옷 주름과 문양, 장식 등은 황선(黃線, 금선)으로 하였다.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아미타불을 가운데 두고, 좌우에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이 협시하였다. 관음보살은 정병을, 지장보살은 보주와 육환장을 들었다. 관음보살 보관에 아미타불이 서있는 정확한 도상을 그렸다. 아미타불의 두광 좌우에는 석가모니불의 십대제자 가운데 대표 둘인 가섭과 아난존자가 합장하였다.

미타불과 양 보살 머리 위에는 모두 보개가 있다. 조선시대 불화에서 보살의 머리 위에까지 보개가 있는 경우는 드물다. 양 보살 보개 옆에 오불(五佛)씩 시방불이 표현되었다. 불보살의 가사와 천의에 들어간 원문, 사각문, 당초문, 초문 등 다양한 문양이 섬세하며 화려하다. 불보살의 신체 비례는 정확하고 상호(相好)도 밝고 맑다.

청암사 아미타불회도는 간략한 구성, 유려한 필선, 정교한 문양이 어우러진 우수한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청암사 아미타불회도는 조선시대 불화 안에서 아미타불의 극락모임이 어느 정도까지 줄어 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조선시대 삼베 바탕에 금선으로 그린 불화의 대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 역대 서화가 사전』(이은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한국의 사찰문화재: 경상북도 II』(불교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의 불화』8(성보문화재연구원, 199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탁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