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련사 큰법당 삼장탱 ( ▽)

목차
관련 정보
강화 청련사 큰법당 삼장탱
강화 청련사 큰법당 삼장탱
회화
유물
국가유산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청련사에 봉안되어 있는 19세기 불화.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련사 큰법당 삼장탱(靑蓮寺 큰法堂 三藏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04년 04월 06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고비고개로188번길 112 (강화읍, 청련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청련사에 봉안되어 있는 19세기 불화.
내용

2004년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청련사 큰법당에 걸려 있는 삼장탱화로, 1881년(고종 18)에 금어 대허 체훈(大虛軆訓), 봉법(奉法), 상기(庠基) 등이 조성하였다.

삼장보살은 하나의 수미단 위에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결가부좌하였다. 중앙의 천장보살은 보관과 붉은색 천의와 흰색의 군의를 입고 양손으로 경책을 맞잡았다. 천장보살 좌측의 지지보살은 왼손으로 경책을 잡고 오른손은 설법인을 취하였으며, 우측의 지장보살은 민머리에 붉은색 가사를 입고 오른손으로 보주를 잡았다.

수미단 앞에는 천장보살의 협시로 두 천(天)이 포복을 입은 채 보관을 쓰고 합장을 하고 있으며, 이들 앞쪽에는 정병과 과일을 받쳐 든 공양 천녀(天女)가 표현되었다. 지지보살의 협시로는 용두관(龍頭冠)을 쓴 신중과 산호로 장식한 관을 쓴 신중이 자리하였고, 지장보살의 협시로는 육환장을 든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합장을 하고 서 있다. 붉은색 위주로 채색되었으며 신중의 장검과 시왕의 홀(笏)에는 금박이 사용되었다.

특징

이 삼장탱은 1790년(정조 14) 화성 용주사 대웅전 삼장탱과 같은 초본을 사용한 작품으로, 용주사본과 비교하면 그림 크기가 정방형에 가까워지면서 여백이 줄거나 권속들을 생략하는 등 구성에 변화가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 탱화는 우수한 초본을 바탕으로 제작된 불화로, 비슷한 시기의 다른 삼장탱에 비해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34, 35, 36 조계사 직할사암편(성보문화재연구원, 200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탁현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