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릉 ()

고려시대사
유적
북한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 있는, 고려 후기 제27대 충숙왕이 묻힌 왕릉.
유적/고인돌·고분·능묘
양식
고려 왕릉
건립 시기
고려 후기
관련 국가
고려 왕조
관련 인물
충숙왕
소재지
개성특급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의릉(毅陵)은 북한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 있는, 고려 후기 제27대 충숙왕이 묻힌 왕릉이다. 충숙왕은 부친인 제26대 충선왕이나 아들인 제28대 충혜왕과 마찬가지로 즉위와 양위 및 복위를 반복하다가 1339년(충숙왕 복위 8) 3월 세상을 떠났다. 충숙왕은 같은 해 6월 개성에 묻혔고 능호는 의릉이다. 1370년(공민왕 19) 공민왕이 의릉을 이장하고자 했으나 실행되지는 않았다. 현재 의릉은 정확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아 능제나 구조 및 상설은 밝혀진 것이 없다.

정의
북한 황해북도 개성특급시에 있는, 고려 후기 제27대 충숙왕이 묻힌 왕릉.
건립경위

충숙왕(忠肅王)은 1339년(충숙왕 복위 8) 3월 계미일에 세상을 떠났다. 충혜왕(忠惠王)이 같은 해 6월 기유일에 왕실 법도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능호를 의릉(毅陵)이라 하였다. 1370년(공민왕 19) 3월에 공민왕(恭愍王)은 후사가 없는 것을 걱정하여 자신의 아버지인 충숙왕의 의릉을 이장(移葬)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신사(知申事) 염흥방(廉興邦)과 판사천감사(判司天監事) 진영서(陳永緖)에게 이장할 곳을 살펴보게 하였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진전사원(眞殿寺院)은 개성 연경궁(延慶宮) 북쪽 송악산 기슭 만월동에 있는 광명사(廣明寺)이다.

변천

고려시대 왕릉의 관리는 제릉서(諸陵署)라는 담당 관서에 관원을 두어 관리하였고, 왕릉을 위숙군(圍宿軍)으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듯이 의릉에도 위숙군을 배치하였다. 조선 태종(太宗)은 1401년(태종 1)에 고려 태조현릉(顯陵), 현종(顯宗)선릉(宣陵), 문종(文宗)경릉(景陵), 원종(景陵)소릉(韶陵)에만 수호인(守護人)을 두고 나머지 왕릉은 소재지인 개성부(開城府)수령이 관리하도록 하였다. 이 때문에 고려 왕릉에 대한 관리가 소홀해져 대다수 왕릉은 그 위치를 알기 어려워졌다. 임진왜란(壬辰倭亂)병자호란(丙子胡亂) 이후 고려 왕릉이 방치되어 현종이 1662년(현종 3)에 태조 현릉을 비롯한 43개 고려 왕릉의 상태를 조사하고 보존 대책을 마련하여 『여조왕릉등록(麗朝王陵謄錄)』에 수록하였으나, 여기에 충숙왕 의릉의 존재는 보이지 않는다. 이후 순조(純祖)가 1818년(순조 18)에 고려 왕릉의 능주(陵主)와 소재가 확실한 30기에 표석(表石)을 세울 때나, 고종(高宗)이 1867년(고종 4)에 고려 왕릉 57기를 조사하고 표석을 세울 때에도 충숙왕의 의릉은 확인되지 않는다.

형태 및 특징

의릉은 단지 개성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을 뿐 그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묘제(墓制)나 널방의 구조 등을 파악할 수 없다. 강화도읍기(江華都邑期) 이후에 왕릉이 진전사원 근처에 조영(造營)되고 있었던 시대적 특징을 고려한다면, 광명사 부근에 충숙왕의 무덤인 의릉이 소재했을 가능성은 상존(尙存)한다.

의의 및 평가

충숙왕 의릉은 고려 및 조선시대의 문헌에는 개성에 조영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원 간섭기(元干涉期)에 영건(營建)된 나머지 왕릉과 마찬가지로 정확한 위치를 알기 어렵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단행본

한재렴, 『고려고도징』(아세아문화사, 1973)
장경희, 『고려왕릉』(예맥, 2008)

논문

권두규, 「고려시대 능호 기재 방식과 수여 기준」(『한국중세고고학』 1,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김인호, 「고려시대 국왕의 장례 절차와 특징」(『한국중세사연구』 29, 한국중세사연구회, 2010)
허흥식, 「고려의 왕릉과 사원과의 관계」(『고려시대연구』 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홍영의, 「조선시대 고려 왕릉의 현황과 보존 관리 실태: 『여조왕릉등록』을 중심으로」(『한국중세고고학』 5,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기타 자료

조선총독부, 『조선고분조사보고(朝鮮古墳調査報告)』(191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