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오빠와 화로 (우리 오빠와 )

현대문학
작품
1929년 2월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발표된 임화의 시.
정의
1929년 2월 『조선지광(朝鮮之光)』에 발표된 임화의 시.
구성 및 형식

10연 43행의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고된 노동으로 하루를 보내는 노동 일가 삼남매의 구체적인 삶과 사회적 의지가 ‘누이 동생’이 ‘오빠’에게 쓰는 편지의 형식 속에 형상화되어 있다.

내용

작품 속의 ‘누이 동생’은 질화로와 화젓가락이라는 시적 매개를 통해 당대의 열악한 노동현실과 그에 대한 극복의지를 표출하고 있다. 직접적인 노동쟁의를 묘사하는 대신 노동운동에 뛰어든 청년과 그 가족이 겪은 생활 현실의 단면을 누이동생이라는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편지체 형식으로 그려놓고 있는 것이다.

편지의 초반부에서는 영남(永男)이가 힘든 노동을 통해 번 돈으로 사온 거북 무늬 화로가 깨어진 것을 이야기함으로써 현재 삼남매가 처해 있는 현실의 부정적인 측면을 드러낸다. 중반부에서는 예전에 오빠가 보여 준 행동과 말들을 통해 현재 자신과 영남이가 처해 있는 상황의 의미를 되새기고 오빠와 오빠의 친구들이 꿋꿋하게 사회의 변혁을 위해 나아가는 모습에 대한 공감과 격려의 메시지를 전한다. 마지막에는 그러한 사회적 변혁의 운동 속에서 자신과 영남이의 처지와 동일한 상황에 있는 다른 이들에 대한 시선을 확인하고 사회적 운동에 대한 동참 의식을 나타낸다.

의의와 평가

이 시에서 표면에 드러나 있는 사건은 ‘화로의 깨어짐’이다. 그러나 사실상 이 시의 담론을 이끌어가는 것은 사건의 전개라기보다는 각 인물들의 ‘발화들’이다. 이 시는 일차적으로 기존 프로시의 일방적인 담론 구조를 극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시에 서간체라는 장치를 도입하여 새로운 창작방법을 실천한 결과 얻어진 성과이다. 새로운 담론 구조 속에서 타자는 더 이상 시인과 텍스트의 외부에 소외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다. 독자는 시 속의 돈호법에 의해 계속해서 텍스트 안으로 불려가며 자신의 내적 경험과 내면을 환기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시인이 구현한 담론의 장치에 의해 자신의 음성을 만들어 가기도 한다. 이러한 시의 구조는 투쟁을 호소하고 계속 싸워나갈 것을 다짐하는 내용을 은근하면서도 적절한 어조로 직접 이야기하듯 담아내어 강한 선동성을 지니게 한다. 이를 통해 이 시가 쓰인 1929년 무렵에 이미 임화의 세계관이 확고하게 노동자 계급의 세계관으로 전환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작가인 임화 자신은 이 작품을 발표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작품의 내용이 프롤레타리아의 생활 속으로 직접 들어가지 못한 채, 관념적으로만 다가선 결과임을 스스로 비판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임화 문학의 근대성 비판』 (김외곤, 새물결, 2009)
『임화: 세계 개진의 열정』 (정호웅, 건국대학교출판부, 1996)
「낭만적 주관주의와 급진적 계급의식」 (염무웅, 임화문학연구회 편, 『임화문학연구2』, 소명출판, 2011)
「프로시의 대중화와 볼셰비키시의 전개」, (박윤우, 김윤식ㆍ김재홍 외, 『한국현대시사연구』, 시학, 2007)
「임화 ‘단편서사시’의 대화적 담론 구조」 (송기한, 오세영ㆍ최승호 편, 『한국현대시인론Ⅰ』, 새미, 2003)
「한국 ‘리얼리즘 시론’의 역사적 전개와 지향」 (윤영천, 윤여탁ㆍ이은봉 편, 『시와 리얼리즘 논쟁(論爭)』, 소명출판, 2001)
집필자
윤여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