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호 ()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때, 인쇄미술 및 상업미술, 영화감독, 연극공연의 무대장치 제작 등 3개 분야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해방 후 조선프롤레타리아 영화동맹의 중앙 집행위원을 역임한 화가 · 영화인 · 미술인.
이칭
이칭
강윤희(姜潤熙)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8년 8월 6일
사망 연도
1984년 7월 3일
출생지
경상남도 창원군 진전면 봉곡리 526번지(본적지)
관련 사건
공산주의자협의회 사건
정의
일제강점기 때, 인쇄미술 및 상업미술, 영화감독, 연극공연의 무대장치 제작 등 3개 분야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해방 후 조선프롤레타리아 영화동맹의 중앙 집행위원을 역임한 화가 · 영화인 · 미술인.
개설

1927년 조선프로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입하여 선전미술활동을 벌였고, 「암로」, 「지하촌」을 감독하고, 극단 신건설에 참여했다. 1932년과 1938년에 일제에 의해 두 차례 검거, 투옥되었고 1943년부터 다수의 연극 무대미술장치를 제작했다. 1946년 월북하여 연극무대 제작과 영화 제작활동을 계속했으며, 대학에서 연극과 영화의 미술이론과 실기를 가르쳤다. 1984년 사망했다.

생애

경남 진주 에서 가난한 소작농의 아들로 태어나 1920년 열두 살 때 상경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잡역일과 날품팔이를 하면서 미술수업을 했다. 귀국 후 1927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에 가입하여 평양 고무공장 노동자들의 파업투쟁을 위한 전단과 벽보를 제작했다. 1928년프로예맹 미술부와 영화부 사업에 참여했다. 1930년 4월 46일프로예맹 조직 개편시 미술부 위원이었다. 1932년 2월에 일제 경찰에 의해서 출판법 위반으로 구속되었고 1934년 9월 5일 출감하였다. 1938년 2월에 공산주의자협의회 사건으로 투옥되었고 1942년까지 수감생활을 했다. 1946년 월북하였고 영화와 연극의 미술장치를 담당했으며, 1961년에는 평양대 예술학부 교수직을 수여받았다.

활동사항

선전미술과 인쇄미술, 영화감독과 시나리오 및 미술, 연극공연의 무대장치 제작의 크게 3개 분야에 걸쳐 활발히 활동했다. 미술 분야에서는 주로 선전과 인쇄미술 및 상업미술에 관여했다. 1927년평양 고무공장 파업 전단지 제작, 1930년 말에 소년잡지 『별나라』, 『신소년』등의 표지 그림과 삽화, 1936년『조선중앙일보』의 연재소설 삽화를 그렸고, 1934년 출감 후에는 부산에서 간판점 화공일을 했다. 1936년에는 조선상업미술가협회에 참여했고 1937년 4월에는 김일영, 추적양과 함께 광고미술사를 창립했다.

영화분야에서는 1928년 3월남향(南鄕)키네마를 설립하여 농촌의 실상을 그린 영화 「암로(暗路)」(1929년 1월 개봉)를 감독하고 출연하였으며, 1930년 11월 영화제작단체 청복키노 창립에 참여했고 첫 작품인 「지하촌(地下村)」(1931)을 감독했으나 검열에 의해 개봉되지 못했다. 1932년 12월에는 동방키노의 멤버로 참여했다. 월북하여 영화 「또 다시 전선으로」(1951)의 시나리오와 미술을 담당하였고 이 작품으로 제8차 카를로비바리 영화제에서 ‘자유를 위한 투쟁상’을 수상했다.

연극분야로는 1932년 6월 극단 신건설에 참여했으며, 1937년 8월 21일이상춘, 추완호, 김일영과 함께 조선연극협회에서 프로 연극을 상연했다. 1943년 2월부터 해방 전까지는 극단 고협(高協), 예원좌(藝苑座) 등이 상연한 50여 작품에 달하는 연극무대의 미술장치를 제작했다.

해방 후 조선프롤레타리아 연극동맹의 서기장이자 조선프롤레타리아 영화동맹의 중앙 집행위원으로서 활동했다. 또한 조선 연극동맹산하 극단들의 무대장치를 담당했다. 1946년 월북 이후에도 연극 「춘향전」(1948년), 「조선의 어머니」(1959년) 등의 무대장치를 제작했다.

저서로는 『라운규와 그의 예술』(1962, 공저), 『무대미술의 기초』(1963), 『해방 전 우리나라 살림집과 생활양식』(1980), 『해방 전 우리나라 옷양식』(1981)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51년 제8회 체코 카를로비바리영화제에서 ‘자유를 위한 투쟁상’을 수상했다.

참고문헌

『식민지시대 대중예술인 사전』(강옥희 외, 소도, 2006)
『한국근대미술의 역사』(최열, 열화당, 1998)
『조선력대미술가편람』(리재현,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4)
집필자
서유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