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 ( )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의 기사문수동자도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의 기사문수동자도
회화
작품
국가유산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월악산(月岳山)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 신륵사 극락전 내외부에 그려진 벽화 및 단청.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堤川 神勒寺 極樂殿 壁畵 및 丹靑)
분류
유물/불교회화/벽화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09년 04월 10일 지정)
소재지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로4길 180 (덕산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월악리 월악산(月岳山) 기슭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 신륵사 극락전 내외부에 그려진 벽화 및 단청.
구성 및 형식

제천 신륵사 극락전의 내외부 벽과 포벽, 내부 천장의 평반자와 빗반자 등에 장엄되어 있는 다양한 소재의 벽화와 단청이다.

내용

내·외부 단청은 150점, 벽화는 136점으로 파악된다. 이는 개채된 단청과 벽화를 모두 포함한 수치로 단청은 외부 전면 39점, 외부 후면 33점, 외부 측면 좌우 32점이며, 내부는 천장에 13점, 전후 및 측면에 33점 등이 잔존해 있다. 벽화는 포벽에 31점, 대량에 4점, 빗반자에 15점, 반자에 26점, 창방·평방에 6점, 벽체에 54점 등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극락장엄을 표현한 것으로는 내부반자의 극락조와 운룡, 주악비천, 대량의 반룡이 있으며, 외부 창방·평방에 별지화로 단청된 서조(瑞鳥)와 서수(瑞獸)가 있다. 또한 포벽의 주제로 등장하는 나한도를 비롯하여 마명조사도(馬鳴祖師圖), 현수대사도(賢首大師圖), 보각선사도(普覺禪師圖) 등 고승의 이야기들이 서술적으로 묘사되고 있어 벽화를 제작했던 화원이 교학을 겸비했던 선승(禪僧)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외 신륵사 벽화에서 볼 수 있는 주제로는 사명대사행일본지도(四溟大師行日本之圖), 위왕조조도(魏王鼂錯圖), 아미타삼존내영도(阿彌陀三尊來迎圖) 등이 있으며, 부처의 전생 이야기를 교화적으로 상징한 토어도(吐魚圖)가 주목된다.

신륵사 극락전 벽화를 그린 사람이나 연대를 편년할 만한 정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극락전 후불탱과 벽화의 기법이 유사한 점을 감안하여 19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내부 벽화는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편이나, 외부 벽화는 200여 년이란 세월의 상흔으로 심하게 퇴색되어 상당 부분 개채 및 보채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신륵사 극락전 단청 및 벽화에 대한 학술조사를 통하여 조선 후기 양식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각종 문양의 변천사를 알 수 있고 작자를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판단된다. 특히 내부의 단청과 벽면 가득히 그려놓은 벽화는 다른 불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풍부한 내용과 독특한 장엄 효과를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사찰벽화: 충청남도·충청북도』(문화재청·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 조사보고서』(충청대학교박물관, 2006)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박은경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