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도 ( )

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도
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도
회화
작품
문화재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복천암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이칭
이칭
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탱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충청북도
종목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2009년 09월 11일 지정)
소재지
속리산면 사내리 산1-19
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사내리 복천암에 봉안된 조선시대 신중도.
구성 및 형식

세로 190㎝, 가로 158㎝ 크기의 비단 위에 불보살을 외호하는 신중들의 모임을 그렸다. 2009년 9월 11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화면 구성은 뒤로 가면서 성중들의 크기가 서서히 작아졌다. 화면은 제석천과 위태천을 중심으로 그 권속들이 주위에 둘러있는 구도를 하고 있는데, 무게 중심은 위태천에 있다. 화면 향좌측 상단에 구름 위에 올라있는 범천(梵天)과 권속들 도상은 유례가 드문 것이다. 범천과 제석천을 동등하게 표현하던 이전 신중도에서 범천을 줄이고 위태천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범천, 제석천도와 위태천도가 하나로 합쳐진 이후, 위태천의 비중이 커지는 상황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화면 전체를 성중들로 가득 채우는 것은 조선시대 불화 진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양식화 과정이기도 하다.

조선 불화는 좌우대칭 구성이 기본이지만, 복천암 신중도는 좌우대칭이 아니어서 성중의 수가 더 많아 보인다. 그리고 성중들의 시선이 한 방향이 아니라, 서로 쳐다보고 있어 질서있기보다는 떠들썩한 분위기이다. 성중들은 대부분 웃고 있거나 밝은 표정을 하고 있다. 그림의 두 주인공인 범천과 제석천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환한 얼굴들은 신겸 불화의 중요한 특징이다.

색채는 적색과 녹색을 위주로 하였으며 청색도 일부 사용하였다. 각 존상들의 의복 바탕과 옷단에는 꽃과 풀 문양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양이 정교하게 그려졌다.

원래 법주사 대웅보전에 봉안되었으나, 후에 복천암으로 옮겨져 극락보전의 향우측 벽면에 걸려있다. 그림의 우두머리인 신겸(信謙)은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중반에 걸쳐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44점이나 되는 많은 불화를 그린 스님이다.

의의와 평가

복천암 신중도는 엄격한 구성을 포기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구성을 한 신중도로, 조선시대 신중도 흐름에서 특이한 작품이라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17(성보문화재연구원, 2000)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탁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