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로 149㎝, 가로 200㎝ 크기의 비단 바탕에 채색으로 석가모니불의 영취산 설법모임을 그렸다. 2011년 8월 26일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찰의 여러 전각 가운데 팔상전의 후불탱은 영산회상도이다. 팔상전은 석가모니불의 일생을 여덟 폭으로 그린 팔상탱이 걸리는 집이고, 팔상전의 주불은 석가모니불이기 때문이다.
홍련화좌 위에 편단우견으로 항마촉지인을 한 석가모니불이 정좌하였다. 정수리에 둥글고 큰 정상 계주가 독특하다. 양쪽으로 팔보살이 둘러져 있는데 연꽃을 든 문수, 보현보살, 백의를 입고 보관에 아미타불이 있는 관세음보살, 경전을 들고 보관에 정병이 있는 대세지보살 등이 확인된다. 눈썹 사이에 눈이 있는 범천과 제석천은 합장을 하였고, 가섭과 아난은 십대제자 가운데 대표로 시립하였다. 두광 좌우에 시방제불 가운데 둘만 표현하였고, 조선시대 영산회상도에서 볼 수 없었던 나한들이 넷이나 등장하였다. 나한들은 서로 화첩을 펼쳐보거나 두꺼비를 들고 있거나 연잎가지를 잡거나 행위에 걸림이 없어 그림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아래에는 공간이 여의치 않아 비파를 생략하고 합장한 동방지국천, 칼을 든 남방증장천, 용과 여의주를 든 서방광목천, 탑과 창을 든 북방다문천 등이 부처님 영취산 설법 모임을 지키고 있다.
성중들의 질서정연한 구성, 다채로운 의복 장식, 다양한 시선과 자세, 녹색과 붉은 색을 기본으로 다양한 여러 색감 등이 쓰인 작품이다. 불보살의 상호뿐만 아니라 모든 성중들의 상호는 밝고 환하다.
전라도를 중심으로 활약한 15명의 스님들이 일심동체가 되어 완성한 수준 높은 영산회상도이다. 이들은 같은 해 대웅전 영산회상도와 지장시왕도도 아울러 그려냈다. 이 그림이 봉안된 팔상전은 1765년(영조 41)에, 대웅전은 1764년(영조 40)에 중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