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고석 ()

박고석
박고석
회화
인물
해방 이후 「범일동 풍경」 · 「가족」 · 「외설악」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이칭
이칭
박요섭(朴耀燮)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7년 2월 25일
사망 연도
2002년 5월 23일
본관
밀양
출생지
평양
정의
해방 이후 「범일동 풍경」 · 「가족」 · 「외설악」 등을 그린 화가. 서양화가.
개설

평양 출신. 1917년 평양에서 목사인 부친 박종은(朴鍾恩, 1885~?)과 모친 김승은의 4형제 중 막내로 태어났다. 숭덕소학교숭실중학교를 졸업하고, 1935년 일본에 건너가 1939년 니혼대학〔日本大學〕 예술학부를 졸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박고석은 대학을 졸업한 이듬해인 1940년에 대학 동창들로 구성된 ‘격조전(格調展)’에 참여하면서 화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3년에는 도쿄에서 첫 개인전을 가진 뒤 쇼치쿠〔松竹〕영화사의 만화영화제작부에서 일하였다.

1945년 광복과 함께 평양으로 돌아왔으나 곧 서울로 내려와 배화여고와 대광중고에서 미술교사를 담당하였다. 6·25가 발발하자 1·4후퇴 때 부산으로 피난해 부산공고 미술교사를 지냈는데, 이 시절 이중섭(李仲燮), 김환기(金煥基), 한묵(韓默) 등과 함께 지냈다.

1952년 이중섭, 한묵, 손응성(孫應星), 이봉상(李鳳商) 등과 함께 ‘기조전(其潮展)’을 창립하였고, 1957년에는 이규상(李揆祥), 유영국(劉永國), 황염수(黃廉秀), 한묵과 함께 ‘모던아트협회’를 창립하여 1962년 해체되기까지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박고석은 1950년대까지는 자연주의적 모티브에 주1, 표현주의 경향의 화풍을 드러내는 작품을 제작하였으나, 모던아트협회 참여를 계기로 1961~62년경에는 추상작품을 제작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곧 추상회화에 회의를 느끼며 한동안 작품을 중단하였다.

박고석은 1967년 이봉상 등과 함께 ‘구상전(具象展)’을 창립하면서 다시 창작을 재개하였다. 이 무렵부터 산행을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산을 모티브로 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북한산, 설악산, 백양산, 지리산 등 전국의 명산을 여행하면서 산의 사계절을 그림으로 남겼다.

1970~80년대에 그린 산 그림은 원근법을 무시한 공간, 두터운 유화물감의 질감, 힘과 탄력이 넘치는 필치, 강렬한 색채대비를 통해 산의 감동을 표현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부드러운 필치로 잔잔한 여운이 감도는 소박한 풍경을 그렸다.

대표작으로는 6·25전쟁 중의 상황을 강렬하고 거친 필치로 표현한 「범일동 풍경」(1951)과 「가족」(1953), 단순하고 굵은 선과 강렬한 색채로 산의 형상을 묘사한 「치악산」(1973)과 「외설악」(1981) 등이 있다.

상훈과 추모

1984년 대한민국 문화예술상을 수상하였고 1987년에는 정부로부터 금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20인의 한국 현대미술가』(오광수, 시공사, 1997)
『글 그림 박고석』(박고석, 열화당, 1994)
「이 작가를 말한다―박고석 산을 그리는 마음」(『월간미술』, 1993. 7)
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da-arts.knaa.or.kr/blog/parkkosuk.do)
주석
주1

20세기 초 프랑스에서 일어난 회화의 한 유파. 강렬한 순수 색채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마티스, 루오, 브라크 등이 대표적 작가이다. 우리말샘

주2

객관적인 사실보다 사물이나 사건에 의하여 야기되는 주관적인 감정과 반응을 표현하는 데에 중점을 두는 예술 사조. 20세기 초 독일을 중심으로 인상주의와 자연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는데, 회화에서 키르히너ㆍ칸딘스키 등이 주창하였다. 제일 차 세계 대전 후에는 문학, 음악, 연극, 영화 분야까지 퍼졌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예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