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시대 ()

영화
사건
영화관련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영상시대’라는 단체가 1975년부터 약 3년간 진행한 ‘청년영화 운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영상시대는 영화 관련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단체로 1975년부터 약 3년간 진행한 ‘청년영화 운동’이다. 영화평론가 변인식, 영화감독 김호선, 이장호, 하길종, 홍파, 이원세가 주축이 되었다. 영화 제작은 물론 새로운 영화 인력의 발굴과 양성, 정기 영화 세미나 개최, 영화전문잡지 《영상시대》 발간 등의 활동을 펼쳤다. 이념보다는 예술을 중심에 둔 운동이며 동시대의 정신을 표현하려는 영화적 시도였다. 그러나 이들의 운동은 동시대 청년 관객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면서 선언적 구호에 머물렀다.

정의
영화관련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결성된 ‘영상시대’라는 단체가 1975년부터 약 3년간 진행한 ‘청년영화 운동’.
역사적 배경

‘영상시대’ 운동의 모토는 ‘한국영화의 예술화’였다. 불황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던 1970년대 한국영화계의 암울한 현실 하에서 영화평론가 변인식(邊仁植), 영화감독 김호선(金鎬善), 이장호(李長鎬), 하길종(河吉鐘), 홍파(洪坡), 이원세는 단체 ‘영상시대’를 결성했다. 이들은 ‘훌륭한 영화’, ‘예술적인 영화’일수록 많은 관객을 모을 수 있다고 믿었고, ‘영화예술의 잃어버린 본령(本領)’을 되찾을 때 불황은 없어질 것이라 확신했다.

여기서 이들이 말하는 ‘예술적인 영화’, ‘영화예술의 본령’이란 1940년대 후반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등 서구 도처에서 등장한 ‘뉴 시네마(New Cinema)’를 지칭한다. 이들 각국의 ‘뉴 시네마’는 영화의 본질을 다시 정의하려는 시도였고, 영화를 예술로 다시 끌어올리려는 노력이었으며, 영화와 현실, 영화와 관객의 관계를 묻는 질문이었기 때문에 한국영화는 도무지 영화다운 영화를 탄생시켜본 적이 없다고 여겼던 ‘영상시대’ 감독들에게 훌륭한 본보기가 될 수 있었다.

경과

‘영상시대’ 동인들은 ‘한국영화 예술화 캠페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로 내걸고 영화 제작은 물론 새로운 영화 인력의 발굴과 양성, 정기 영화 세미나 개최, 영화전문잡지 『영상시대』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이들이 ‘영상시대’ 결성 후 가장 먼저 추진한 ‘연출지망생 공개모집’과 ‘신인배우 선발대회’는 이른바 ‘청년문화의 기수’였던 ‘영상시대’ 감독들에 대한 당대 젊은이들의 신뢰와 동경에 힘입어 모두 910명(연출 지망 85명, 연기 지망 825명)이 응모할 정도로 엄청난 화제를 불러 모았다.

이어 ‘새 세대가 만든 새 영화’를 표방하며 내놓은 ‘영상시대’의 첫 작품은 「숲과 늪」(1975, 홍파)이었다. 공식적인 첫 작품답게 이 영화는 ‘영상시대’ 동인들의 연대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영상시대’의 신인배우 공모에서 선발된 신인들 중 맨 처음으로 최민희(崔敏姬)와 조영숙(趙英淑)이 주연과 조연으로 출연할 기회를 얻었고, 여기에 각 감독들의 페르소나(persona) 배우들이었던 「특별수사본부 외팔이 김종원」(1975, 이원세)의 박근형(朴根瀅), 「바보들의 행진」(1975, 하길종)의 하재영(河在英), 그리고 「영자의 전성시대」(1975, 김호선)의 송재호(宋在浩)가 가세했으며, 「별들의 고향」(1974, 이장호), 「어제 내린 비」(1974, 이장호) 등에서 유려한 영상을 보여준 바 있던 장석준(張錫俊)이 촬영을 맡았다. 이른바 ‘영상시대’의 대표주자들이 투입된 첫 번째 시험무대였던 셈이다.

하지만 젊은이들의 애정 모럴에 관한 풍속도를 모더니즘적인 ‘뉴 시네마’ 양식으로 담아낸 이 작품은 2만 6037명의 관객 동원이라는 참담한 결과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꽃과 뱀」(1975, 이원세), 「그래 그래 오늘은 안녕」(1976, 이장호), 「여자를 찾습니다」(1976, 하길종), 「여자들만 사는 거리」(1976, 김호선) 등 다른 동인들의 ‘영상시대’ 결성 후의 작품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더욱이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리」(1977, 홍파)나 「한네의 승천」(1977, 하길종)은 개봉조차 하지 못한 채 ‘1977년 상반기 우수영화’로 선정되어, 단지 제작사에 외화수입쿼터의 혜택을 받게 해준 요식행위의 작품이라는 수치스런 신세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의의와 평가

‘영상시대’는 이념보다는 예술을 중심에 둔 운동이며 동시대의 정신을 표현하려는 영화적 시도였다. 하지만 ‘영상시대’ 관계자들의 ‘한국영화 예술화 운동’은 동시대 청년 관객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했고, 선언적 구호에 머무르는 한계를 지녔다. 동시에 30대 흥행 감독이라는 지명도에 의존했다는 점과 개인적인 친분으로 결성한 동인체가 갖는 느슨한 연대감 등은 운동으로서의 동력을 허약하게 했다.

참고문헌

「한국영화운동사에서 ‘영상시대’의 등장 배경과 영화사적 의의」(문관규, 『씨네포럼』14, 2012)
「청년영화 운동으로서의 ‘영상시대’에 대한 연구」(안재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집필자
안재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