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비자나무 (개나무)

식물
생물
주목과 개비자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소교목.
이칭
이칭
눈개비자나무, 누은개비자나무, 좀개자나무
정의
주목과 개비자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소교목.
개설

제주도 · 울릉도를 제외한 경기도와 충청북도 이남에 자생한다. 눈개비자나무, 누은개비자나무, 좀개자나무 등으로도 불린다. 학명은 Cephalotaxus koreana Nakai 이다. 나무의 지름은 5∼25㎝, 높이 5∼10m이다. 경기도 화성시 융릉에 소재한 개비자나무는 2009년 9월 16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생태

잎은 나선상으로 주1를 한다. 잎의 뒷면에는 2줄의 회백색 기공대(잎이 숨 쉬는 부분으로 보통 잎 뒤에 흰 선으로 나타남)가 있다. 잎의 길이는 37∼40㎜인데 맹아지의 것은 75㎜, 열매자루의 것은 20∼25㎜이다. 잎자루는 없는데, 4∼5년 동안 달려있다.

꽃은 암수딴그루(간혹 암수한그루)로 4월에 핀다. 수꽃은 길이가 5㎜ 내외로서 편구형(偏球形)이다. 10여 개의 포로 싸인 것이 한 꽃자루에 20∼30개가 작은 가지 뒤편의 잎겨드랑이에 난다. 길이가 5㎜인 암꽃은 가지 끝에 2개씩 달리는데, 10여 개의 뾰족한 녹색 포에 싸여 있다. 열매는 육질의 씨껍질로 싸이며 둥글다. 지름은 1.7∼1.8㎝ 정도로 다음해 8∼9월에 적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긴타원형이고 갈색이다. 줄기는 곧다. 작은 가지는 가늘고 녹갈색의 잎자국이 있다.

개비자나무, 비자나무, 주목은 식물학적으로는 과가 다를 만큼 거리가 있지만 모양새는 매우 유사하다. 잎 뒷면에 연초록 숨구멍 줄이 있는 것이 주목이며, 비자나무와 개비자나무는 하얗거나 그냥 초록이다. 잎의 끝 부분을 눌러 보았을 때 가시처럼 찔리는 감촉이 있으면 비자나무, 그렇지 않다면 주목이나 개비자나무이다. 따뜻한 남쪽 지방에 아름드리로 자라면 비자나무이며, 중부지방 숲 속에서 상록의 키 작은 나무로 자라면 개비자나무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한방에서는 개비자나무의 종자를 토향비(土香榧)라고 하여 회충과 갈고리촌충 구제나 먹은 음식이 잘 소화되지 않을 때 사용한다. 최근 잎에서 알칼로이드(alkaloid) 성분을 추출하여 식도암과 폐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연구가 있다. 천연집단에 분포하는 개비자나무 개체들을 이용해서 무생물 및 생물적 환경인자가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HHT)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항암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적인 생산이 기대되는 연구 소재로 주목받는 나무이다.

참고문헌

『새로운 한국수목대백과도감』(이정석 외, 학술정보센터, 2010)
『원색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2006)
『궁궐의 우리나무』(박상진, 아카데미서적, 2002)
『원색 한국본초도감』(안덕균, 교학사, 1998)
『한국식물명고』(이우철, 아카데미서적, 1996)
생명자원정보서비스(www.bris.go.kr)
주석
주1

식물의 줄기에 잎이 붙는 형식의 하나. 잎이 줄기의 마디 하나에 한 장씩 붙어나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권오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