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딸나무 (딸나무)

목차
관련 정보
식물
생물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이칭
이칭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준딸나무, 소리딸나무, 애기산딸나무, 굳은산딸나무
정의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개설

경기도 이남 지역에 자생한다. 들매나무, 미영꽃나무, 준딸나무, 소리딸나무, 애기산딸나무, 굳은산딸나무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원산지는 한국과 일본이다. 학명은 Cornus kousa Buerger 이다. 나무의 지름은 50㎝이고, 높이는 10∼15m이다. 산딸나무는 함양 상림(천연기념물, 1962년 지정), 강진 까막섬 상록수림(천연기념물, 1966년 지정), 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1972년 지정), 고창 문수사 단풍나무 숲(천연기념물, 2005년 지정)천연기념물의 주요 수종을 이룬다.

생태

잎은 주1를 하며 달걀 모양의 타원형 또는 달걀형이다. 표면은 녹색이고 잔 복모(伏毛: 누워있는 털)가 약간 있다. 잎의 뒷면은 회녹색 복모가 모여 난다. 잎의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의 거치가 있다. 잎맥 겨드랑이에는 황갈색의 빽빽한 털이 있고 측맥은 4∼5쌍이다.

꽃은 암수한몸 양성화로 지난해 가지 끝에 두상으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가 5∼10㎝로 6월에 흰색으로 핀다. 흰색의 주2은 4개가 사방으로 퍼지는데, 꽃잎같이 보인다. 중심에 20∼30개의 작은 꽃이 두상으로 모여 달리며 주3이 없다. 꽃받침은 통상 4열이며, 꽃잎은 4개로 황색이다. 수술은 4개로 꽃잎보다 길다. 자방은 하위 2실로 서로 합착하고 있다.

열매는 주4로 둥글며 10월에 붉은색으로 익는데, 울퉁불퉁한 원형으로 도깨비 방망이와 비슷하게 생겼다. 종자는 타원형으로 길이가 4∼6㎜이다.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꽃턱(꽃자루 맨 끝의 불룩한 부분)은 육질로 먹을 수 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한방에서는 꽃과 열매를 야여지(野荔枝)라고 하여 수렴성 지혈작용이 있어 외상 출혈에 쓰인다. 강원도 지방에서는 열매가 익으면 생으로 먹고 잎은 차로 끓여 마시는데, 설사 · 소화불량 · 골절상 등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줄기는 쟁기, 다듬이, 빨래방망이, 나막신, 베틀 등에 이용되었다.

경기도 지방에서는 봄에 어린잎을 삶아 나물로 먹고, 열매는 빨갛게 익으면 생식하였다. 또 줄기는 도마, 나막신, 주5 등에 이용되었다. 공해에 강하고 무리 없이 잘 자라므로 최근에는 도시공원과 왕릉의 주6로 널리 쓰인다.

현재 산딸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 질환 치료 · 예방용 약학조성물과 항노화 · 주름개선용 조성물, 산딸나무 열매를 이용한 와인 및 이의 제조방법, 기능성 화장품 성분 추출방법 등에 관한 특허 출원이 다수 있다.

참고문헌

『한반도 민속식물』(국립수목원, 2010∼2012)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명승(식물편)』(문화재청, 2009)
『원색 한국본초도감』(안덕균, 교학사, 1998)
『한국식물명고』(이우철, 아카데미서적, 1996)
생명자원정보서비스(www.bris.go.kr)
주석
주1

식물의 줄기에 잎이 붙는 형식의 하나. 잎이 마디마다 두 개씩 마주 붙어 나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

꽃차례의 기부에 여러 개의 포엽이 뭉쳐서 형성된 총포의 각 포엽. 꽃이 발육하는 동안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말샘

주3

국화나 벼의 꽃을 받치는 자루. 우리말샘

주4

한 꽃 안에 있는 여러 개의 심피가 발달하여 이루어져 하나처럼 보이는 열매. 산딸기 모양의 과실로 작은 석과가 집합한 위과의 종류의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5

다듬잇감을 감아서 다듬이질할 때에 쓰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도구. 우리말샘

주6

보면서 즐기기 위하여 심고 가꾸는 나무. 우리말샘

집필자
권오정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