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면 바탕에 채색. 세로 178.6㎝, 가로 224.5㎝. 서방극락(西方極樂)에서 설법하는 아미타불과 여러 권속들을 묘사한 불화이다. 화기를 통해 1892년(고종 29)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바탕천과 안료의 박락이 확인되나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아미타극락회상도는 서방극락세계를 주재하는 아미타불과 여러 권속들을 함께 그린 불화로, 조선시대에 유행하여 다수 조성되었다.
불화의 화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윤왕좌를 취하고 있는 관음과 대세지보살을 위시하여 그 좌우로 보살 4위를 각각 묘사하였다. 하단에 범 · 제석천 및 사천왕이 배치되어 있고, 상단에는 아난과 가섭을 위시한 10대제자와 금강상 2위 등이 좌우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다.
화면 하단의 화기에는 1892년이라는 제작 시기와 더불어 덕월당 응륜(德月堂 應崙)의 주도하에 모두 7명의 화승이 표기되어 있다. 또한 봉안처는 관악산(冠岳山) 관음사(觀音寺)로 기술되어 있다. 덕월당 응륜은 19세기 후반 경기도 관악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이다. 가장 이른 시기의 불화는 1866년에 수화승으로 활약한 금보암 신중도로 확인되며, 이후 1901년까지 약 24점의 불화를 조성하였다.
설법인을 취하고 있는 중앙의 아미타불은 뒷면에 녹색 두광과 금색의 원형 신광을 갖추고 있으며 얼굴은 둥글고 어깨는 넓은 편이다. 주색 가사에는 연화원문이 반복적으로 시문되어 있다. 좌우 보살상의 천의에는 금선으로 문양을 표현하였으며, 특히 보관과 영락 장식에 돋을 기법을 사용한 점이 눈에 띈다. 전체적으로 녹색과 주색, 군청, 백색을 주조색으로 사용했으며, 구름은 녹색과 황색으로 표현하였다.
19세기 서울 · 경기 지역의 아미타극락회상도 및 덕월당 응륜의 화풍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그 가치가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