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 ( )

범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
범어사 대웅전 삼장보살도
회화
유물
문화재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금정산(金井山) 기슭에 위치한 범어사에 소장된 19세기 말 삼장보살도.
정의
부산광역시 금정구 범어사 금정산(金井山) 기슭에 위치한 범어사에 소장된 19세기 말 삼장보살도.
개설

2006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257㎝, 가로 267.2㎝. 천상과 지상, 지하의 교주로 신앙되는 세 보살인 천장 · 지지 · 지장보살을 그린 불화이다. 화기를 통해 1882년(고종 19)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호은(虎隱) 문성(文性)이 증명(證明)을 담당하였다. 화면 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다.

내용

삼장보살도는 화면 중앙에 천장보살(天藏菩薩)과 그 왼쪽의 지지보살(持地菩薩), 오른쪽의 지장보살(地藏菩薩)을 주축으로 각 보살 주위에 여러 권속들을 거느린 불화를 말한다. 삼장보살은 천상과 지상, 지하의 교주로 신앙되는 세 보살을 칭하는데, 죽은 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인 수륙재와 관련있는 불화로 보고 있다. 도상 또한 중국 수륙화 혹은 수륙벽화에 유사 도상과 명칭이 확인되고 있으나, 조선시대 삼장보살도 도상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삼장보살도는 대개 1폭으로 조성되지만, 2폭 또는 3폭으로 조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 불화는 대웅전의 좌측 벽면에 봉안되어 있는 불화로, 1882년에 수화승 수룡당 기전(繡龍堂 琪銓)이 대웅전의 영산회상도, 신장도와 함께 제작한 삼장보살도이다. 화면은 상하 2단으로 구분하여, 상단 중앙에 천장보살과 진주 · 대진주보살, 그 왼쪽에 지지보살과 용수 · 다라니보살, 맞은 편 오른쪽에 지장보살과 도명존자 · 무독귀왕 등 보살상의 좌우협시들을 배치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천부 · 지상 · 명부계 권속들이 에워싸고 있다. 하단에는 위태천과 사천왕, 무장형의 신장상, 주악천동과 천녀 등이 열을 지어 정연하게 배열된 모습으로, 전체적으로 80여 위에 이르는 수많은 권속들이 보살들을 에워싼 형태이다.

특징

삼장보살도의 도상 구성을 통해 화면 하단 중앙에 사천왕과 신장상 외에 위태천과 주악인상이 배치된 것을 주목할 수 있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제석신중도가 많이 제작되었고, 여기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위태천과 주악천인 도상이 이 작품에도 흡수된 것으로 보이며, 19세기 기전이 제작한 삼장보살도의 도상적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채색은 전반적으로 붉은색이 주로 사용되었고, 그 외 도상의 신체와 복식에 황색과 백색, 청색과 녹색이 부분적으로 활용되었다. 인물의 표현이나 채색 역시 같은 시기에 조성된 영산회상도, 신중도와 같이 수룡당 기전의 특징이 드러난다. 또한 화면 전체적으로 80여 위에 이르는 상당수의 도상들로 공간을 꽉 메워 여백이 거의 없다. 이처럼 범어사 삼장보살도의 공간감과 여백 처리는 앞 시기인 18세기 삼장보살도와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의의와 평가

이 불화의 제작자인 수룡당 기전은 19세기 후반 부산 · 경상남도 지역에서 활약한 불화승으로, 1863년부터 19세기 말까지 약 30년간 30점 이상의 불화 제작에 관여하였다. 특히 이 불화는 19세기 후반의 기전의 화풍을 살펴볼 수 있고, 부산 · 경상남도 지역의 불교회화와 불화승의 계보를 밝힐 수 있는 주요한 작품이다.

참고문헌

『천년고찰 범어사』(범어사성보박물관·부산박물관, 2015)
『범어사의 불교미술』(박은경 외, 선인, 201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박은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