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현 ()

목차
회화
인물
조선후기 선암사 아미타불도, 선암사 33조사도, 흥국사 괘불도 등을 그린 승려. 화승.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목차
정의
조선후기 선암사 아미타불도, 선암사 33조사도, 흥국사 괘불도 등을 그린 승려. 화승.
활동사항

선암사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의겸(義謙)과 긍척(亘陟)의 전라도 불화 전통을 복찬(福粲)과 쾌윤(快允)에게 전해주었다. 1751년 선암사 아미타불도에서 처음 이름이 나타나며 1759년 흥국사 괘불도부터 수화승으로 참여하였다. 1783년 만연사 괘불도가 마지막 작품이다.

비현은 여수 흥국사 괘불도(1759), 고흥 금탑사 괘불도((1778), 화순 만연사 괘불(1783년)도 등 세 점의 괘불도를 그렸다. 이 괘불도들은 비현이 의겸의 화풍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독특한 불화를 완성하였음을 보여 준다. 두 보살의 무릎 위 천의의 흰색 바탕에 청색을 사용해 사군자를 그린 점은 비현이 그린 괘불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성중들은 네모난 얼굴에 가운데로 몰린 눈·코·입과 작은 입을 가졌으며 채색은 백색과 옥색과 밝은 녹색을 사용하였다.

한편 비현이 그린 선암사 팔상전 화엄경변상도(1780년)는 송광사 화엄경변상도(1770년)와 쌍계사 화엄경변상도(1790년)와 같은 초본에 의거해 그린 것으로 18세기 후반 전라도에서 유행한 화엄경변상도의 상황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한국역대서화가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한국의 불화 화기집』(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조선후기승장인명사전』불교회화(안귀숙 최선일, 양사재, 2008)
집필자
탁현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