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엽 ()

목차
회화
인물
대한제국기 영지사 「지장보살도」 · 「신중도」 등을 그린 화가. 승려.
이칭
이칭
긍엽(亘燁), 긍엽(亘葉), 경월(景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미상
출생지
미상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영지사 「지장보살도」 · 「신중도」 등을 그린 화가. 승려.
활동사항

긍엽의 호는 경월(景月)이며, 현재 전하는 작품으로 미루어 보아 1890년경부터 1905년까지 약 15년간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그의 작품은 20여 점이 남아 있는데, 영천 은해사(銀海寺)와 죽림사(竹林寺), 영지사(靈芝寺), 대구 동화사(桐華寺), 그리고 남해 용문사(龍門寺) 등 주로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 경상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여주 신륵사(神勒寺)와 보은 법주사(法住寺) 등 경기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의 화적도 보인다.

그가 참여한 작품의 화기(畵記)를 살펴보면 긍엽은 대체로 규모가 큰 불사에서 보조화사로 참여한 경우가 많았고, 작은 규모의 불사는 수화승과 함께 간혹 편수(片手)로서 주요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긍엽이 수화승으로서 불화를 제작한 경우는 2~3점만이 알려져 있다. 불화는 공동 작업이 대부분이어서 긍엽도 여러 화사들과 작업하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서울·경기 지역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화승 영운봉수(永雲奉秀)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봉화(奉華)가 수화승으로 참여한 불화 제작에 긍엽이 함께 한 사례가 자주 보이고, 역시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한 상조(尙祚), 소현(所賢)과도 함께 작업하였다.

긍엽의 대표작으로는 그가 수화승으로 참여해 제작한 영천 영지사(靈芝寺) 지장보살도(1900년)와 영지사 대웅전 신중도(1900년)를 들 수 있다. 두 그림 모두 주요 존상들의 두광과 옷에 붉은색 외에 녹색과 채도가 높은 청색을 두드러지게 사용하는 시대적인 특징을 보이지만 조화가 되지 않아 어색하다. 또한 노인형의 존상은 안면 표현에서 눈가 아래위로 주름선을 그어 그 선을 따라 음영을 강하게 표현한 점이 공통적이다. 영지사 신중도의 경우 화면 위쪽에 배경으로 6폭의 산수 병풍을 그렸는데, 수묵으로 그린 민화풍의 간결한 기법과 화면 중간에 붉은색과 청색의 음영이 표현된 구름이 눈에 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화기집』(성보문화재연구원, 2011)
『한국의 불화』30(성보문화재연구원, 2003)
집필자
최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