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경주 초상, 유지초본 및 함 (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에 제작된 조선 전기의 문신 홍경주의 초상화와 제작 초본 및 그 보관함.
작품/서화
창작 연도
조선 후기
소장처
경기도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홍경주 초상, 유지초본 및 함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유산(2017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상갈로 6 (상갈동, 경기도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경주 초상」, 유지초본 및 함은 조선 전기의 문신 홍경주가 1506년(중종 원년)에 정국공신으로 책록되었을 때 국가로부터 수여받은 공신상을 조선 후기에 옮겨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초상화와 그 초상화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한 초상화 초본 및 초상화를 담아두기 위한 보관용 함이다. 2017년 12월 21일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조선 전기의 문신 홍경주의 초상화와 제작 초본 및 그 보관함.
제작 배경

홍경주(洪景舟, ?~1521)는 조선 전기에 활동한 문신으로, 1501년(연산군 7) 문과에 급제한 뒤에 여러 관직에 올랐다. 1506년(중종 원년)에 일어난 중종반정 때 군대 동원을 성사시킨 공로로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봉해졌으며, 그 이듬해에는 이과(李顆)의 옥사(獄事)를 처리하는 데 공을 세워 정난공신(靖難功臣) 2등에 책훈되었다. 두 차례 공신에 책훈된 것을 계기로 이조판서 등의 주요 요직에 올랐다.

홍경주의 후손들이 1506년에 제작된 홍경주 초상의 이모본(移模本) 제작을 의뢰하였다.

내용

「홍경주 초상」과 그 초상화를 제작할 때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초본 한 점이 함께 전한다. 현전하는 조선시대 공신상의 초본이 대부분 대상 인물의 얼굴이 표현된 반신상(半身像)인 것과 달리 이 초본은 전신상(全身像)이어서 주목된다.

이 초본은 유지에 목탄으로 윤곽을 잡아 그린 것이다. 현재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세 부분으로 분리되어 있다. 또한 「홍경주 초상」의 보관을 위해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함도 이 초상화와 함께 전하고 있다.

형태 및 특징

「홍경주 초상」은 홍경주가 1506년에 정국공신으로 책록되었을 때 국가로부터 수여 받은 공신상을 모본으로 하여 조선 후기에 이모된 초상화로 추정된다. 이 초상화에서 홍경주는 오사모에 청색의 단령을 착용하고 교의에 앉은 모습이다. 현재 정국공신상은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 유순정 초상」과 「 유홍 영정」, 그리고 진성이씨 종중 소장 「 이우(李堣) 초상」이 알려져 있다. 이 세 초상화도 모두 정국공신 책록 때의 것이 아닌 조선 후기에 이모된 것이다.

「홍경주 초상」의 전신교의좌상(全身交椅坐像)의 형식은 이 세 초상화의 것과 거의 동일하다. 네 초상화에서 각 인물은 모두 동일한 형태의 의자에 앉은 채 공수 자세로 왼쪽을 향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방석을 붙들기 위해 교의에 매듭을 한 방식이나 단령의 트임 사이로 단령의 안감과 단령 안에 입은 첩리(帖裏)를 겹겹이 나타나게 하고 그 사이로 패도(佩刀)를 그려 넣은 방식은 네 초상화에서 모두 확인된다. 그리고 이 네 초상화 중 「유홍 초상」을 제외한 세 초상화에는 그 이전 시기에 제작된 공신상에서는 볼 수 없었던 채전(彩氈)이 표현되어 있다.

「홍경주 초상」에서 홍경주는 정3품 관리의 것인 운안(雲雁) 문양의 흉배가 부착된 단령을 착용하고 있다. 홍경주는 정국공신에 녹훈되기 바로 직전에 정3품의 승정원 동부승지에 임명되었다. 그런데 그는 허리에 정1품직의 것인 서대(犀帶)를 착용하고 있다. 아마도 이 초상화 제작 시에 홍경주 후손의 주문을 받아 화가가 품대를 서대로 바꾸어 그렸던 것으로 추측된다.

「홍경주 초상」의 화가는 갈색 선으로 이목구비의 윤곽을 그리고 은은한 살색으로 채색한 뒤에 뺨 부분에 홍색을 덧입히는 방식으로 홍경주의 얼굴을 표현하였다. 수염은 필선을 반복해 구사하는 방식으로 묘사하였다. 단령에는 주름이나 굴곡에 상관 없이 획일적이고 평면화된 모양으로 운두문(雲頭文)을 그렸다.

이 초상화가 조선 후기의 이모본으로 추정되는 가장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족좌대 위에 갖가지 색으로 부분 채색된 화문석 때문이다. 이러한 종류의 화문석 표현은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초상화에서 본격적으로 확인된다.

「홍경주 초상」은 전체적으로 그림 상태가 매우 좋다. 얼굴, 관복, 채전 등의 표현에서 정교한 필치 구사나 채색법을 확인할 수 있어, 기량이 뛰어난 화가에 의해 이모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 및 평가

「홍경주 초상」은 16세기에 제작된 공신상의 형상을 조선 후기에 매우 충실히 반영한 이모본 초상화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2017년 12월 21일 경기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편, 『조선의 공신』(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형(形)과 영(影)의 예술』(돌베개, 2009)

논문

윤진영, 「조선시대 공신화상의 신례(新例)」(『조선의 공신』,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집필자
이성훈(부산박물관 학예연구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