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두량 필 삽살개 ( )

회화
작품
문화재
1743년(영조 19) 화원 김두량이 삽살개를 묘사한 영모도.
이칭
이칭
견도(犬圖), 방구도(尨狗圖)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43년
작가
김두량
소장처
개인(현**)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2019년 05월 29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수영구
내용 요약

김두량 필 「삽살개」는 1743년(영조 19) 화원 김두량이 삽살개를 묘사한 영모도이다. 「견도」 또는 「방구도」로도 알려져 있다. 「삽살개」는 김두량의 사실적이면서 정밀한 묘사력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조 어제를 함께 감상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 또한 김두량의 개 그림들 중 유일하게 김두량이 그렸다는 내용과 제작연도를 알 수 있는 관서(款書)가 있어 김두량뿐 아니라 조선 후기 영모화 연구의 기준작으로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2019년 5월 29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743년(영조 19) 화원 김두량이 삽살개를 묘사한 영모도.
내용

「삽살개」는 「견도(犬圖)」 또는 「방구도(尨狗圖, 厖狗圖)」로도 알려져 있다. 원래 『제가명품화첩(諸家名品畵帖)』에 포함되어 있었던 그림으로, 현재는 따로 족자로 꾸며져 있다. 『제가명품화첩』에 포함되어 있는 묵서(墨書)에 김두량의 「삽살개」가 화첩의 일부였고, 그림 속 제발(題跋)이 ‘국왕의 어서(御書)’임을 밝히고 있다.

김두량은 개 그림으로 유명한 화가이다. 이가환(李家煥)의 『동패낙송속(東稗洛誦續)』에 의하면 “김두량은 윤두서에게서 그림을 배웠고 개 그림을 잘 그렸다. 영조가 명하여 종신토록 급록(給祿)을 주라고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김두량이 개 그림으로 유명했을 뿐 아니라 영조의 총애를 받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영조가 화원 김두량에게 ‘남리(南里)’라는 호를 특별히 하사한 예에서도 알 수 있다. 김두량의 「삽살개」에 영조가 어제를 남긴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삽살개」 상단에 쓰인 영조 어제의 내용은 “사립문을 밤에 지키는 것이 네 책임이거늘 어찌하여 낮에 또한 이와 같이 짖고 있느냐. 계해 유월 초이튿날 김두량 그림[柴門夜直 是爾之任 如何途上晝亦若此 癸亥 六月 初吉 翌日 金斗樑圖].”

어제의 내용에서처럼 그림에는 위를 향해 노려보며 으르렁대는 얼룩무늬 삽살개 하나가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위로 치켜뜬 매서운 눈매, 컹컹 짖고 있는 듯한 입과 날카로운 이빨, 가늘게 세필로 묘사된 짧은 털 속에 느껴지는 긴장된 근육, 날카로운 발톱을 지닌 큼지막한 발, 둥글게 말려 있는 꼬리 등은 위협적으로 느껴질 정도로 사실적이다.

형태 및 특징

「삽살개」는 김두량의 또다른 대표작 「 흑구도(黑狗圖)」와 마찬가지로 개의 형태와 구조를 사실적이고 정밀하게 묘사하면서도, 「흑구도」보다 동적인 움직임이 더욱 강조되었다. 이러한 해부학적인 묘사 특징은 당시 청으로부터 들어온 서양화풍의 영향으로 보고 있으며, 더욱이 김두량의 학습 초기에 그림 스승이었던 윤두서의 작화 태도에 기인한 것도 또 하나의 요인으로 여겨진다. 즉 ‘종일토록 주목한 후 그 참모습을 얻은 후에 그렸고’ , ‘터럭 하나라도 제대로 그려야 한다'는 윤두서의 작화 태도는 김두량의 사실적 동물 묘사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의의 및 평가

「삽살개」는 김두량의 사실적이면서 정밀한 묘사력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조 어제를 함께 감상할 수 있어 의미가 크다. 또한 김두량의 개 그림들 중 유일하게 김두량이 그렸다는 내용과 제작연도를 알 수 있는 관서(款書)가 있어 김두량뿐 아니라 조선 후기 영모화 연구의 기준작으로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2019년 5월 29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이정은, 「영조 어제로 본 김두량 〈삽살개〉의 연구」(『문물연구』 30, 동아문화재단, 2016)
이원복, 「김두량ㆍ김덕하 부자의 견도(犬圖) - 기준작과 추정작의 문제를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 15, 동악미술사학회, 2013)
김상엽, 「남리 김두량의 작품세계」(『미술사연구』 11, 미술사연구회, 1997)
집필자
신선영(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