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변사계회도 ()

회화
작품
국가유산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계회도.
작품/서화
창작 연도
1550년
소장처
서울역사박물관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비변사계회도(備邊司契會圖)
분류
유물/일반회화/기록화/계회도
지정기관
서울특별시
종목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유산(2018년 10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비변사계회도」는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계회도이다. 북악산, 북한산을 배경으로 비변사 건물과 참석한 인물들이 작게 그려져 있다. 현존하는 「비변사계회도」 중 가장 오래된 시기에 제작되었고, 당대 저명한 문인인 신광한의 제시가 있으며, 당시 광화문과 경복궁, 그리고 육조거리의 실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각 자료이다. 2018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550년(명종 5) 비변사 관원들의 계회 모임을 그린 계회도.
제작 배경

비변사왜구여진의 침입이 끊이지 않자 실정에 맞는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국경 지방의 요직을 지낸 인물을 국방 방략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시킬 수 있도록 설치한 특별기관이다. 계회도가 그려진 1550년은 비변사가 상설기관으로 자리잡기 이전으로, 제시(題詩)에서 쓰인 바와 같이 비변사 관원들이 친목과 함께 나라의 안위를 도모하기 위해 계회를 갖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계회도를 제작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내용

그림 상단에 전서체로 "비변사계회도(備邊司契會圖)"라는 제목이 쓰여 있고, 그림 오른쪽에 신광한(申光漢)이 짓고 쓴 제시 마지막에 "가정경술동(嘉靖庚戌冬)"이라고 쓰여 있어, 1550년 겨울 비변사 관원들의 모임을 그린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하단에 참석자의 품계, 관직, 이름 등을 적은 좌목(座目)이 소실되어 누가 참석했는지는 알 수 없다. 계회도는 보통 상단에 전서체로 쓴 그림 제목, 중단에 그림으로 묘사된 계회 모임, 하단에 좌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단의 그림은 안개가 자욱이 끼어 있는 북한산경복궁을 배경으로 육조거리가 묘사되었고, 육조거리 오른쪽 중간 즈음에 7명의 비변사 관원들이 청사 안에서 모임을 가지는 장면이 그려져 있다. 부감법을 사용하여 경복궁과 육조거리의 경관을 한눈에 살필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였으며, 산의 능선을 따라 표현된 단선점준(短線點皴) 등은 조선 중기의 일반적인 화풍이다. 그림 오른쪽에는 7언 제시가 쓰여 있는데, 비변사 정랑 이감(李戡)의 부탁을 받고 신광한이 쓴 것이다. 비변사 관원들의 결의와 충절의 기상을 읽을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三面山河鎭大東 삼면의 산하가 우리나라를 두르고/ 安危惟有仗諸公 그 안위는 오직 여러 공들에게 의지하네/ 要將罇俎籌邊策 친목을 도모하며 변경의 계책을 세우리니/ 不用樓龜喜遠功 누각의 시귀를 쓰지 않아도 먼 앞날의 공을 기뻐하네/ 已道海南無戰艦 이미 남쪽 바다에는 전함이 없고/ 還聞塞外遁棲戎 다시 듣건대 변경 밖의 오랑캐가 멀리 숨어버렸다네/ 深謀雲鳥歸綿蕝 깊이 계책을 도모하여 운조가 법도로 돌아가니/ 好事金蘭入畫中 금란지교(金蘭之交) 같은 좋은 일이 그림 속에 담겨 있네/ 嘉靖庚戌冬 1550년(명종5) 겨울

의의 및 평가

현재 좌목 부분은 소실되었지만 조선 초기 계회도의 전형적인 형식을 갖춘 기년작으로서 중요하며, 특히 당시 광화문과 경복궁, 그리고 육조거리의 실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각 자료이다. 2018년 10월 18일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논문

윤진영, 「기록화로 보는 한양」(『박물관 유물로 보는 서울Ⅲ-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보물들』, 서울역사박물관, 2020)
윤진영, 「조선시대 계회도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집필자
신선영(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