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당사 ()

목차
불교
유적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용진진(龍津鎭) 남쪽에 있었던 조선후기 강화 외성 수비를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창건한 사찰.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선원면 용진진(龍津鎭) 남쪽에 있었던 조선후기 강화 외성 수비를 위한 군사적 목적으로 창건한 사찰.
개설

조선 후기에 강화도 외성 수비를 담당하던 사찰이다. 용진진의 남쪽 해안가 깎아지른 듯한 절벽 위에 있었으며, 예로부터 용당제월(龍堂霽月: 용당사 비 갠 하늘의 밝은 달)이라 하여 강화도 팔경(八景) 중 하나였다. 사찰이 위치한 용진진에는 병마만호(兵馬萬戶) 휘하에 101명의 병력이 주둔해 있었고, 그 남쪽에는 ‘참경루(斬鯨樓: 고래 잡는 누각)’가 있었는데, 여기서 고래는 청나라 군대를 의미한다고 한다.

내용

용당사(龍堂寺)는 강화도 좌강돈대와 용강돈대 사이 해안도로 인근에 있었던 사찰로 지금은 빈터만 남아 있다. 이 사찰은 강화 외성의 수비를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창건된 승병(僧兵) 거주 사찰이었다. 『비변사등록』에 의하면, 1692년(숙종 18) 9월 14일에 강화유수 오시대(吳始大)가 올린 장계(狀啓)에서 이르기를, “병조판서 민종도(閔宗道)의 품달로 사찰을 짓고 있으나 재력이 부족하여 완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초에 승공명첩(僧空名帖: 승려에게 주는 공명첩)이 30여 장뿐이었고, 현재 다시 재력이 부족하니 승공명첩 수십 장을 더 얻어 판매한다면 그 재력으로 완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이 이미 시작한 공사여서 승공명첩을 더 주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아뢰었고, 숙종은 승공명첩 20장을 만들어 주라고 하교하였다. 이렇게 해서 완공된 용당사는 160칸 규모였다. 이때 용당사를 지은 땅이 송식(宋植)의 소유였으므로 그에 맞는 땅값을 보상해주었다. 그런데 1738년(영조 14) 11월 2일에 강화유수 권시적(權示啇) 등이 장계에서 아뢰기를, “갑곶(甲串) 아래 용당사(龍堂寺) 앞에 있는 참경루는 승려들이 수호하였었는데 지금은 지키는 승려가 없어 무너지고 퇴락하였습니다. 다시 2백 장의 공명첩을 얻어 판매한 재력으로 수리하고, 또 남는 재력으로 정족산성의 부서진 승사(僧舍)를 수리하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때 영조는 공명첩의 폐단을 이유로 1백 장으로 줄여 허락하였다. 사찰이 언제 폐허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한편,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 제천단(祭天壇) 서쪽 절벽 아래에도 같은 이름의 용당사가 있었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는 권상로(1879~1965)가 찬술한 『한국사찰전서』에서 기록하고 있다. 그 내용에 의하면, “목은 이색(李穡, 1328~1396)의 시를 새긴 현판이 있었으며, 태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제천단에서 제사 지낼 때 용당사에서 숙박하였다. 명종은 율곡 이이(李珥, 1536~1584)에게 제천단의 초사(醮詞)를 짓도록 명하였다. 이 절은 1883년(고종 20) 이후 폐사되었으며 용당사에 있던 작은 금불상이 전등사에 옮겨져 봉안되어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강도부지(江都府誌)』,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한국의 사지(상): 서울·인천·경기북부』(불교문화재연구소, 조계종출판사, 2010)
『기내사원지』(경기도문화공보담당관실 편, 경기도, 1988)
『한국사찰전서』(권상로, 동국대출판부, 1979)
집필자
이종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