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작품
문화재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의 강설당에 있는 근대의 아미타불탱.
시도문화재자료
연계번호
3412300220000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명칭
전등사 강설당 아미타불탱
원어
傳燈寺 講說堂 阿彌陀佛幀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종목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제22호
지정일
2002년 12월 23일
소재지
인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로 37-41 (온수리)
경도
126.4849558
위도
37.6328895
웹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3412300220000
해제여부
N
목차
정의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전등사의 강설당에 있는 근대의 아미타불탱.
내용

가로로 긴 화면의 중앙에는 아미타여래가 연화 대좌 위에 앉아있다. 그 주위로 협시보살인 백의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비롯한 여러보살들, 제석과 범천, 사천왕, 가섭과 아난을 위시한 불제자들, 그리고 팔부 중 가운데 일부가 표현되었다. 아미타여래가 오른손을 아래로 늘어뜨려 석가여래의 주된 수인인 항마촉지인과 유사한 수인을 하고 있어 특이하다.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주조색으로 하고 황토, 녹청 등을 사용해 채색하였다. 군데군데 보이는 코발트블루의 사용은 당시의 채색 경향을 보여주는 특징이다. 화기에 따르면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히 활동한 화승 보경보현이 단독으로 제작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그는 상궁들과 함께 시주에도 참여 하였다. 화기의 ‘이왕전하’의 장수를 기원하는 글귀 앞에 '천황폐하수만세'라는 글귀를기재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라는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34』(성보문화재연구원, 2005)
집필자
최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