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준 ()

과학기술
문헌
조선 후기에, 서명응이 편찬한 천문학 관련 서적.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83년(정조 7) 이전
저자
서명응
소장처
고려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비례준은 조선 후기에 서명응이 편찬한 천문학 관련 서적이다. 『비례준』은 서명응의 방대한 저술인 『보만재총서』에 수록되어 있는데, 서양 천문역산학의 도입 이후 그 성과를 흡수하여 선천역(先天易)을 토대로 전통 천문학과 융합하고자 하였던 서명응의 독특한 학문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서명응이 편찬한 천문학 관련 서적.
저자 및 편자

『비례준(髀禮準)』의 저자는 서명응(徐命膺, 1716∼1787)이다.

서지사항

『비례준』은 서명응의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에 수록되어 있다. 현재 『보만재총서』는 고려대학교 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보만재총서』를 책으로 편집해서 완성한 시점은 1783년(정조 7)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안에 포함된 각각의 책의 저술 시점은 다른 자료와의 비교 및 검토를 통해 유추해 보아야 한다.

구성과 내용

『비례준』은 하늘의 구조와 별자리를 설명한 상편(上篇)과 일월오행성(日月五行星)과 은하수에 대해 설명한 하편(下篇)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편은 「총상준(總象準)」, 「상규준(上規準)」, 「현무준(玄武準)」, 「백호준(白虎準)」, 「주작준(朱雀準)」, 「창룡준(蒼龍準)」, 「하규준(下規準)」으로 편제되어 있는데, 이 가운데 「총상준」에서는 ‘십이중천(十二重天)’과 ‘칠요광색(七曜光色)’이라는 소제목 하에 서양의 중천설(重天說)과 햇빛이 성월(星月)을 비추는 이치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상규준」부터 「하규준」까지는 하늘의 별자리를 북극 주변의 주극성, 황적도(黃赤道)의 북륙(北陸), 서륙(西陸), 남륙(南陸), 동륙(東陸)에 위치한 별자리, 그리고 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남극 주변의 별자리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가운데 「하규준」의 별자리들은 서양의 천문역산학이 도입된 이후 동아시아에 전래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하편은 「태양준(太陽準)」, 「태음준(太陰準)」, 「오성준(五星準)」, 「천한준(天漢準)」, 「수법준(數法準)」으로 편제되어 있으며, 「태양준」부터 「천한준」까지는 각각 양정(陽精)의 종주(宗主)로서 칠요(七曜)를 주재하며, 천체(天體)와 오성(五星)의 중앙에 위치한 태양, 음정(陰精)의 종주로서 태양과 짝이 되는 태음, 목성 · 화성 · 금성 · 수성 · 토성 등 오행성의 형체 · 명칭 · 광색(光色) · 대소(大小) · 고하(高下) · 변동(變動), 무수한 작은 별로 구성된 은하[天漢]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수법준」에서는 기존의 『주비산경(周髀算經)』 가운데 주공(周公)과 상고(商高)의 문답 부분만을 추출하여 『주비경(周髀經)』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주해(註解)를 달았다.

의의 및 평가

서명응은 선천역의 이론과 각종 도서(圖書)를 통해 당시 전래한 서양 천문역산학의 내용을 역학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비례준』 역시 서양 천문역산학에 대한 서명응의 상수학적 해석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참고문헌

원전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대학원 貴235-1∼31)
『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古0270-11)

논문

박권수, 「서명응(1716-1787)의 역학적 천문관」 (『한국과학사학회지』 20-1, 한국과학사학회, 1998)
박권수, 「서명응·서호수 부자의 과학활동과 사상: 천문역산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11, 한국실학학회, 2006)
박권수, 「『보만재총서』 속의 자연과학 지식」 (『규장각』 3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집필자
구만옥(경희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